Connecting The Dots

아빠의 우주연구

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td:초끈이론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양쪽 다음 판
ctd:초끈이론 [2019/10/29 21:06]
admin [String Theory]
ctd:초끈이론 [2019/10/29 21:08]
admin [String Theory]
줄 25: 줄 25:
 그 중에서도 과학자들을 크게 괴롭힌것은 따로 있었으니,​ 많은 학자들이 이 새로운 이론에 열광하며 뛰어 들은 결과 **총 5개의 끈이론이 발견** 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더우기 5개 모두 유효한 수식으로 검증 받으면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갖기 시작했다. 왜 한개 혹은 n개가 아니라 유독 5개가 발견 되었을까?​ 5개라는 개수에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 것일까? 그 중에서도 과학자들을 크게 괴롭힌것은 따로 있었으니,​ 많은 학자들이 이 새로운 이론에 열광하며 뛰어 들은 결과 **총 5개의 끈이론이 발견** 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더우기 5개 모두 유효한 수식으로 검증 받으면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갖기 시작했다. 왜 한개 혹은 n개가 아니라 유독 5개가 발견 되었을까?​ 5개라는 개수에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 것일까?
  
-초끈이론은 여기서 다시한번 극심한 정체기를 맞게 되나 1995년 에드워드 위튼(Edward Witten)이 M Theory 를 들고 나오면서 또 한번의 도약을 이루게 된다.+초끈이론은 여기서 다시한번 극심한 정체기를 맞게 되나 1995년 에드워드 위튼([[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B%93%9C%EC%9B%8C%EB%93%9C_%EC%9C%84%ED%8A%BC|Edward Witten]])이 M Theory 를 들고 나오면서 또 한번의 도약을 이루게 된다.
  
 ===== M Theory ===== ===== M Theory =====
ctd/초끈이론.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1/03 10:43 저자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