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ing The Dots

아빠의 우주연구

User Tools

Site Tools


ctd:keylontic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ctd:keylontic [2023/05/11 13:39]
admin [1. Partiki]
ctd:keylontic [2023/05/11 13:42] (current)
admin [1. Partiki]
Line 47: Line 47:
 평균화된 하나의 3차원 '​광자'​(Photon((오늘날의 광자의 정의는 주파수에 반비례 해서 그 크기가 커지고 작아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안에는 8x10<​sup>​26</​sup>​(800 trillion trillion) 개의 '​파르티카이'​가 존재 한다. ((광자 크기 하나에 입자같은 파르티카이가 뭉쳐 있는것이 아니라 파르티카이 발생 가능성 지점이 프랙탈-홀로그램 형태로 촘촘하게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평균화된 하나의 3차원 '​광자'​(Photon((오늘날의 광자의 정의는 주파수에 반비례 해서 그 크기가 커지고 작아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안에는 8x10<​sup>​26</​sup>​(800 trillion trillion) 개의 '​파르티카이'​가 존재 한다. ((광자 크기 하나에 입자같은 파르티카이가 뭉쳐 있는것이 아니라 파르티카이 발생 가능성 지점이 프랙탈-홀로그램 형태로 촘촘하게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  - 광자의 파장 스펙트럼 = 380 ~ 740 nm 
-  - 광자의 평균 파장 = 560 nm 
   - 플랑크 상수 = 6.62607015x10<​sup>​-34</​sup>​   - 플랑크 상수 = 6.62607015x10<​sup>​-34</​sup>​
-  - 광자 / 플랑크상수 = 8.45x10<​sup>​26</​sup>​ ≈ (8x10<​sup>​26</​sup>​ 광자 평균 파르티카이수)+  - 광자의 평균 파장 = 560 nm (광자의 파장 스펙트럼 380~740 nm) 
 +  - 광자의 평균 파장 ​/ 플랑크상수 = 8.45x10<​sup>​26</​sup>​ ≈ (8x10<​sup>​26</​sup>​ 광자 평균 파르티카이수)
  
  
ctd/keylontic.txt · Last modified: 2023/05/11 13:42 by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