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ing The Dots

아빠의 우주연구

User Tools

Site Tools


ctd:krystal_spiral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 Both sides next revision
ctd:krystal_spiral [2017/06/21 14:08]
admin [자전축의 세차운동]
ctd:krystal_spiral [2020/09/07 19:24]
admin [음양 vs 얀윤]
Line 12: Line 12:
   * 피보나치수열 ([[https://​en.wikipedia.org/​wiki/​Fibonacci_number|Fibonacci Numbers]])   * 피보나치수열 ([[https://​en.wikipedia.org/​wiki/​Fibonacci_number|Fibonacci Numbers]])
   * 베시카 피시스 ([[https://​en.wikipedia.org/​wiki/​Vesica_piscis|Vesica Piscis]])   * 베시카 피시스 ([[https://​en.wikipedia.org/​wiki/​Vesica_piscis|Vesica Piscis]])
-  * 신성기하학 ([[ctd:​신성기하학|Sacred Geometry]])+  * 신성기하학 ([[fib:​신성기하학|Sacred Geometry]]) 
 +  * 메타트론 큐브([[ctd:​rescue#​eye_of_metatron|Metatron’s Cube]])
  
 유한한 성장 패턴과 영속적인 성장 패턴을 구분하는 중요한 차이점은 **'​근원'​(source)과 연결되어 있는가 여부**다. 유한한 성장 패턴과 영속적인 성장 패턴을 구분하는 중요한 차이점은 **'​근원'​(source)과 연결되어 있는가 여부**다.
  
 가장 기본적인 도형부터 시작해 보자. 가장 기본적인 도형부터 시작해 보자.
- 
 ===== 베시카 피시스 ===== ===== 베시카 피시스 =====
 두 원이 겹치는 지점에서 생겨나는 물고기 부레 모양의 도형을 **'​베시카 피시스'​**([[http://​m.blog.naver.com/​yoochinw/​130179906363|Vesica Piscis]]) 라고 부른다. 이 상징은 프리메이슨을 비롯해 크리스쳔 계열의 오컬트적 상징으로 자주 등장한다. 두 원이 겹치는 지점에서 생겨나는 물고기 부레 모양의 도형을 **'​베시카 피시스'​**([[http://​m.blog.naver.com/​yoochinw/​130179906363|Vesica Piscis]]) 라고 부른다. 이 상징은 프리메이슨을 비롯해 크리스쳔 계열의 오컬트적 상징으로 자주 등장한다.
  
-{{http://i1.wp.com/olivetjournal.com/wp-content/uploads/2014/07/​VesicaPiscis.mandorla.Fish_.png?​w=340}}+{{https://i.pinimg.com/originals/57/b4/de/57b4debe0b866a91164a23e385b8e5d4.png?​w=340}}
  
 음과 양이 만나는 중간 지점에서 모든 우주가 탄생하였다는 의미로 '​우주의 자궁'​으로 묘사되기도 하는 '​베시카 피시스'​ 기호는 **빛이 창조되는 수학적 원리를 상징**((우리의 물질은 모두 '​빛'​으로 만들어 졌다는 것을 상기하자 - 참고:​[[ctd:​One Electron Universe]])) 한다. 음과 양이 만나는 중간 지점에서 모든 우주가 탄생하였다는 의미로 '​우주의 자궁'​으로 묘사되기도 하는 '​베시카 피시스'​ 기호는 **빛이 창조되는 수학적 원리를 상징**((우리의 물질은 모두 '​빛'​으로 만들어 졌다는 것을 상기하자 - 참고:​[[ctd:​One Electron Universe]])) 한다.
  
 그러나 타락한 존재들이 감추고 있는 진실중 하나는 빛을 만드는 두가지 방식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 그러나 타락한 존재들이 감추고 있는 진실중 하나는 빛을 만드는 두가지 방식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
-  - 근원(source)이 분되면서 발생하는 삼위일체의(Tri-Wave unity) 유기적인 빛과(organic light) ​+  - 근원(source)이 분열/​융합 ​되면서 발생하는 삼위일체의(Tri-Wave unity) 유기적인 빛과(organic light) ​
   - 음양의 에너지가 만나 소멸(spark)되면서 발생하는 이원성의(Bi-Wave polarity) 비유기적인 빛(inorganic light)   - 음양의 에너지가 만나 소멸(spark)되면서 발생하는 이원성의(Bi-Wave polarity) 비유기적인 빛(inorganic light)
  
Line 35: Line 35:
 근원과 연결된 오른쪽의 '​삼위일체 파동'​(Tri-Wave) 에 비해 왼쪽의 '​이원성 파동'​(Bi-Wave)은 음과 양이 서로 충돌해 빛을 발생시키고 돌아갈 근원이 없어 에너지가 점차 소멸하는 구도로 되어 있다. 근원과 단절된 '​이원성 창조'​(Duality Creation)의 법칙은 외부로 부터 지속적인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자신을 유지할 수 있다. 근원과 연결된 오른쪽의 '​삼위일체 파동'​(Tri-Wave) 에 비해 왼쪽의 '​이원성 파동'​(Bi-Wave)은 음과 양이 서로 충돌해 빛을 발생시키고 돌아갈 근원이 없어 에너지가 점차 소멸하는 구도로 되어 있다. 근원과 단절된 '​이원성 창조'​(Duality Creation)의 법칙은 외부로 부터 지속적인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자신을 유지할 수 있다.
  
-<​HTML>​ +'​베시카 피시스'​의 이원성 창조의 법칙은 오래된 기만의 역사를 가진 '​메타트로닉스 ​<del>신성</​del>​기하학'​(<del>[[fib:​신성기하학|Sacred]]</​del>​ [[fib:​신성기하학| Metatronic Geometry]]) 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script src="​http://​cloud.github.com/​downloads/​uxebu/​bonsai/​bonsai-0.4.1.min.js"></​script>​ +
-<div id="​divPhasing"></​div>​ +
-<script type="​phasing"​ id="​phasing">​ +
-RADIUS = 30; +
-PX = 65; +
-PY = 40; +
- +
-BiWave(PX,​PY+20,​RADIUS,'​1.5s'​);​ +
-TriWave(PX+130,​PY,​RADIUS,'​1.5s'​);​ +
- +
-function BiWave(x,​y,​r,​sec) +
-+
-    e = '​linear';​ +
-    var animePki = new KeyframeAnimation(sec,​ { +
-        '​0%' ​ : { radius: 0 }, +
-        '​49%'​ : { radius: r }, +
-        '​50%'​ : { radius: r }, +
-        '​100%':​ { radius: r } +
-    }, { repeat:​Infinity,​ easing:e });   +
-    var animePcm = new KeyframeAnimation(sec,​ { +
-        '​0%' ​ : { radius: r }, +
-        '​49%'​ : { radius: r }, +
-        '​50%'​ : { radius: 0 }, +
-        '​100%':​ { radius: r } +
-    }, { repeat:​Infinity,​ easing:e });   +
-  +
-    new Circle(x ​ ,​y,​r).stroke("​silver",​ 1).addTo(stage);​ +
-    new Circle(x+r,​y,​r).stroke("​silver",​ 1).addTo(stage);​ +
-   +
-    fill = new color.RGBAColor(200,​100,​90,​160);​ +
-    new Circle(x,​y,​0).stroke("​purple",​ 1).addTo(stage).fill(fill).animate(animePcm);​ +
-    fill = new color.RGBAColor( ​ 0,​100,​200,​160);​ +
-    new Circle(x+r,​y,​0).stroke("​navy",​ 1).addTo(stage).fill(fill).animate(animePki);​ +
- +
- +
-    animeSrc = new KeyframeAnimation(sec,​ { +
-        '​0%' ​ : { x:x+r  }, +
-        '​50%'​ : { x:x }, +
-        '​100%':​ { x:x+r   } +
-    }, { repeat:​Infinity,​ easing:e });   +
- +
-    new Circle(x ​ ,y  ,​2).stroke("​dodgerblue",​ 1).addTo(stage).fill("​aqua"​).animate(animeSrc);​ +
- +
-    TextOut(x+13-30,​y+40,'​Vesica Piscis'​);​ +
-+
- +
-function TriWave(x,​y,​r,​sec) +
-+
-    e = '​linear';​ +
-    var animePki = new KeyframeAnimation(sec,​ { +
-        '​0%' ​ : { radius: 0 }, +
-        '​50%'​ : { radius: r }, +
-        '​100%':​ { radius: 0 } +
-    }, { repeat:​Infinity,​ easing:e });   +
-    var animePcm = new KeyframeAnimation(sec,​ { +
-        '​0%' ​ : { radius: r }, +
-        '​49%'​ : { radius: r }, +
-        '​50%'​ : { radius: 0 }, +
-        '​100%':​ { radius: r } +
-    }, { repeat:​Infinity,​ easing:e });   +
-    var animePka = new KeyframeAnimation(sec,​ { +
-        '​0%' ​ : { radius: r }, +
-        '​49%'​ : { radius: r }, +
-        '​50%'​ : { radius: 0 }, +
-        '​100%':​ { radius: r } +
-    }, { repeat:​Infinity,​ easing:e });   +
- +
-    d = Math.sqrt(r*r / 2); +
-    new Circle(x ​ ,y  ,​r).stroke("​silver",​ 1).addTo(stage);​ +
-    new Circle(x-d,​y+d,​r).stroke("​silver",​ 1).addTo(stage);​ +
-    new Circle(x+d,​y+d,​r).stroke("​silver",​ 1).addTo(stage);​ +
- +
-    fill = new color.RGBAColor(100,​100,​100,​0);​ +
-    new Circle(x ​ ,y  ,​0).stroke("​silver",​ 1).addTo(stage).fill(fill).animate(animePki);​ +
-    fill = new color.RGBAColor(200,​100,​90,​160);​ +
-    new Circle(x-d,​y+d,​0).stroke("​purple",​ 1).addTo(stage).fill(fill).animate(animePcm);​ +
-    fill = new color.RGBAColor( ​ 0,​100,​200,​160);​ +
-    new Circle(x+d,​y+d,​0).stroke("​navy",​ 1).addTo(stage).fill(fill).animate(animePka);​ +
-   +
-    animePcm = new KeyframeAnimation(sec,​ { +
-        '​0%' ​ : { x:x  , y:y   }, +
-        '​50%'​ : { x:x-d, y:y+d }, +
-        '​100%':​ { x:x  , y:y   } +
-    }, { repeat:​Infinity,​ easing:e }); +
- +
-    animePka = new KeyframeAnimation(sec,​ { +
-        '​0%' ​ : { x:x  , y:y   }, +
-        '​50%'​ : { x:x+d, y:y+d }, +
-        '​100%':​ { x:x  , y:y   } +
-    }, { repeat:​Infinity,​ easing:e });   +
- +
-    new Circle(x ​ ,y  ,​2).stroke("​dodgerblue",​ 1).addTo(stage).fill("​aqua"​).animate(animePcm);​ +
-    new Circle(x ​ ,y  ,​2).stroke("​dodgerblue",​ 1).addTo(stage).fill("​aqua"​).animate(animePka); ​  +
- +
-    TextOut(x-20,​y-20,'​Source'​);​ +
-    TextOut(x-20,​y+d+40,'​Tri-Wave'​);​ +
-+
- +
-function TextOut(x,​y,​data) +
-+
-    new Text(data).attr({  +
-        x: x,  +
-        y: y, +
-        textAlign: '​center',​ +
-        fontSize: '​11px',​ +
-        fontFamily: '​Arial',​ +
-        textFillColor:​ '​gray'​ +
-    }).addTo(stage);​ +
-+
-</​script>​ +
- +
-<​script>​ +
-    var divPhasing = document.getElementById('​divPhasing'​);​ +
-    bonsai.run(divPhasing,​ { +
-        code: document.getElementById('​phasing'​).innerHTML,​ +
-        width: 280, +
-        height: 120, +
-        framerate: 30 +
-    }); +
-</​script></​HTML>​ +
- +
-'​베시카 피시스'​의 이원성 창조의 법칙은 오래된 기만의 역사를 가진 '​메타트로닉스 신성기하학'​([[ctd:​신성기하학|Metatronic ​Sacred ​Geometry]]) 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은하계의 중심까지 비틀어버린 타락한 존재들은 이원성의 드라마 속에 끊임없이 방황하는 인간들을 오랜시간 농락해왔다. ​ 은하계의 중심까지 비틀어버린 타락한 존재들은 이원성의 드라마 속에 끊임없이 방황하는 인간들을 오랜시간 농락해왔다. ​
Line 166: Line 44:
  
 다음단계로 '​나선형 성장곡선'​(Spiral growth curve)을 살펴보자. 다음단계로 '​나선형 성장곡선'​(Spiral growth curve)을 살펴보자.
- 
 ===== 나선형 성장곡선 ===== ===== 나선형 성장곡선 =====
 {{ctd:​nature.jpg?​300}} {{ctd:​nature.jpg?​300}}
  
-12세기 이탈리아 수학자 [[https://​ko.wikipedia.org/​wiki/​%EB%A0%88%EC%98%A4%EB%82%98%EB%A5%B4%EB%8F%84_%ED%94%BC%EB%B3%B4%EB%82%98%EC%B9%98|레오나르도 피보나치]]에 의해 유명해진 **'​피보나치 수열'​**(Fibonacci Sequence)은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파이(Φ) 황금율(Golden Mean Ratio)을 따르는 [[https://​uxd.so/​h/​golden-design-theory/​|수학적 성장 법칙]]으로 자주 소개되고 있다. ​+12세기 이탈리아 수학자 [[https://​ko.wikipedia.org/​wiki/​%EB%A0%88%EC%98%A4%EB%82%98%EB%A5%B4%EB%8F%84_%ED%94%BC%EB%B3%B4%EB%82%98%EC%B9%98|레오나르도 피보나치]]에 의해 유명해진 **'​피보나치 수열'​**(Fibonacci Sequence)은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https://​youtu.be/​HEfHFsfGXjs|파이(Φ)]] 황금율(Golden Mean Ratio)을 따르는 [[https://​uxd.so/​h/​golden-design-theory/​|수학적 성장 법칙]]으로 자주 소개되고 있다. ​
  
 그러나 이것은 합성된 빛(inorgnaic light)의 영향을 받은 유한한 성장곡선이며 영속적이고 유기적인(organic) 성장곡선은 따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은 합성된 빛(inorgnaic light)의 영향을 받은 유한한 성장곡선이며 영속적이고 유기적인(organic) 성장곡선은 따로 존재한다.
- 
 ==== 피보나치 수열 ==== ==== 피보나치 수열 ====
 숫자 0과 1에서 시작하여 앞의 두 숫자를 계속해서 더해 나가면서 커져가는 간단한 법칙을 따르는 '​피보나치'​ 수열은 '​0'​ 즉 원점(근원)으로 부터 점점 떨어져 나가는 비대칭적인 곡선을 그리면서 성장해 나아간다. 숫자 0과 1에서 시작하여 앞의 두 숫자를 계속해서 더해 나가면서 커져가는 간단한 법칙을 따르는 '​피보나치'​ 수열은 '​0'​ 즉 원점(근원)으로 부터 점점 떨어져 나가는 비대칭적인 곡선을 그리면서 성장해 나아간다.
Line 187: Line 63:
  
 {{ctd:​Spirals.svg}} {{ctd:​Spirals.svg}}
 +
 ==== Metatronic Death Star Harness ==== ==== Metatronic Death Star Harness ====
 '​피보나치'​의 곡선을 살펴 보면 '​크리스탈'​ 곡선보다 크게 돌기 시작한 후 점차 작아지면서 안쪽으로 굽는다. '​피보나치'​의 곡선을 살펴 보면 '​크리스탈'​ 곡선보다 크게 돌기 시작한 후 점차 작아지면서 안쪽으로 굽는다.
Line 195: Line 72:
  
 '​크리스탈 성장곡선'​을 따르는 '​튜레니즘'​ ([[ctd:​Guardians|Turaneusiam]]) 천사인류 유전자가 처음 만들어 졌을때는 수명에 제한이 없었으며 호흡만으로 지구의 에너지를 섭취하며 살 수 있었으나 [[ctd:​Anunnaki|아눈나키]] 유전자가 섞이고 지구의 전자기장이 '​메타트로닉 코드'​ 해킹을 당하면서 인류의 수명이 줄어들고 다른 생명을 섭취해야 살아갈 수 있는 지금의 인류로 퇴보 하였다.\\ ​ '​크리스탈 성장곡선'​을 따르는 '​튜레니즘'​ ([[ctd:​Guardians|Turaneusiam]]) 천사인류 유전자가 처음 만들어 졌을때는 수명에 제한이 없었으며 호흡만으로 지구의 에너지를 섭취하며 살 수 있었으나 [[ctd:​Anunnaki|아눈나키]] 유전자가 섞이고 지구의 전자기장이 '​메타트로닉 코드'​ 해킹을 당하면서 인류의 수명이 줄어들고 다른 생명을 섭취해야 살아갈 수 있는 지금의 인류로 퇴보 하였다.\\ ​
-(참고:​[[ctd:​Human Life Span]]) ​ 
  
 신이 천지창조 7일째 되는날 쉬었다고 하는 창세기 대목과 주7일에 안식일을 지키고 신에게 회개하는 서구식 생활리듬이 자리잡은 배경으로 크리스탈과 피보나치 곡선의 교차점을 연관 시켜 보면 흥미로운 결론에 도달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 신이 천지창조 7일째 되는날 쉬었다고 하는 창세기 대목과 주7일에 안식일을 지키고 신에게 회개하는 서구식 생활리듬이 자리잡은 배경으로 크리스탈과 피보나치 곡선의 교차점을 연관 시켜 보면 흥미로운 결론에 도달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
Line 207: Line 83:
  
 '​음양'​과 '​얀윤'​ 두 방식이 만들어 내는 에너지 흐름의 차이는 **'​메르카바'​**([[ctd:​Merkaba]])를 돌리는 각도와 회전 방식에서 발생한다. '​음양'​과 '​얀윤'​ 두 방식이 만들어 내는 에너지 흐름의 차이는 **'​메르카바'​**([[ctd:​Merkaba]])를 돌리는 각도와 회전 방식에서 발생한다.
 +
 ==== MER.KA.BA ==== ==== MER.KA.BA ====
  
-'​키론틱'​([[ctd:​Keylontic]]) 페이지에서 언급한 '​메르카바'​([[ctd:Merkaba]]) '​크리스탈 바디'​([[ctd:​keylontic#​crystal_body|Crystal Body]]) '​형태발생영역'​(Morphogenetic Field)은 모든 생명의 근간이 되는 키론 코드(Keylon Code)로 작용 한다.+'​키론틱'​([[ctd:​Keylontic]]) 페이지에서 언급한 '​메르카바'​([[http://​slides.com/​ctd/​timematrix#/​6|Merkaba]]) '​크리스탈 바디'​([[ctd:​keylontic#​crystal_body|Crystal Body]]) '​형태발생영역'​(Morphogenetic Field)은 모든 생명의 근간이 되는 키론 코드(Keylon Code)로 작용 한다.
  
 {{ctd:​CrystalBody.svg}}\\ ​ {{ctd:​CrystalBody.svg}}\\ ​
Line 261: Line 138:
 그러나 지금의 태양계 행성들의 회전축은 보통 꼬여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지금의 태양계 행성들의 회전축은 보통 꼬여 있는 것이 아니다.
  
-{{https://​puserscontentstorage.blob.core.windows.net/​userimages/​9a6d966f-f3da-43e0-98df-4dc0cb81828c/​5e674a4b-681a-4aef-bbf0-11af2777cb75image14.jpg}}+{{ctd:solar_system_alignment.jpeg}}
  
 지구, 화성, 토성이 비슷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것을 볼수가 있다. ​ 지구, 화성, 토성이 비슷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것을 볼수가 있다. ​
Line 282: Line 159:
  
 지구의 전자기장은 토러스 모양으로 다시 안으로 말려 들어가면서 끊임없이 에너지를 회전 시키며 소모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체의 중심점을 기점으로 요동시키면서 관성의 힘을 발생시키는 파워볼([[http://​pugeun.tistory.com/​m/​entry/​autostart-power-ball|Powerball]]) 이라는 운동기구를 써보셨다면 그 원리의 유사점을 느낄것이다. )) 지구의 전자기장은 토러스 모양으로 다시 안으로 말려 들어가면서 끊임없이 에너지를 회전 시키며 소모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체의 중심점을 기점으로 요동시키면서 관성의 힘을 발생시키는 파워볼([[http://​pugeun.tistory.com/​m/​entry/​autostart-power-ball|Powerball]]) 이라는 운동기구를 써보셨다면 그 원리의 유사점을 느낄것이다. ))
 +
 +<WRAP alignments centeralign>​{{https://​s3.amazonaws.com/​media-p.slid.es/​uploads/​718949/​images/​3957830/​precession.gif?​80}}</​WRAP>​
 +<WRAP alignments centeralign>​
 +{{https://​s3.amazonaws.com/​media-p.slid.es/​uploads/​718949/​images/​3957834/​precession_torus.gif?​320}}</​WRAP>​
  
 이 현상은 유럽우주국(ESA) 에서 쏘아올린 자기장 관찰 위성을 연구하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최근에 발견 되기도 하였다. 이 현상은 유럽우주국(ESA) 에서 쏘아올린 자기장 관찰 위성을 연구하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최근에 발견 되기도 하였다.
Line 326: Line 207:
  
 ====== 참고 ====== ====== 참고 ======
 +  * [[http://​slides.com/​ctd/​timematrix#/​7|Krystal Spiral(Slides)]]
   * [[http://​projectcamelotportal.com/​2015/​04/​15/​ashayana-deane-ascension-mechanics-2/​|Project Camelot Interview: Ashayana Deane – Ascension Mechanics (2010, Sarasota Florida)]]   * [[http://​projectcamelotportal.com/​2015/​04/​15/​ashayana-deane-ascension-mechanics-2/​|Project Camelot Interview: Ashayana Deane – Ascension Mechanics (2010, Sarasota Florida)]]
   * [[ctd:​mceo-ga_workshop|“Sliders-4” The Call of Aurora]] (2009)   * [[ctd:​mceo-ga_workshop|“Sliders-4” The Call of Aurora]] (2009)
ctd/krystal_spiral.txt · Last modified: 2023/06/22 16:13 by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