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ing The Dots

아빠의 우주연구

User Tools

Site Tools


ctd:one_electron_univers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Both sides next revision
ctd:one_electron_universe [2024/03/26 10:40]
admin
ctd:one_electron_universe [2024/03/28 13:49]
admin [Double Slit Experiments]
Line 121: Line 121:
 그럼 전자의 위치는 왜 구름과 같은 확률 분포로 존재 할까? ​ 그럼 전자의 위치는 왜 구름과 같은 확률 분포로 존재 할까? ​
  
-자의 이동은 오로지 [[ctd:​ARPS]] 가 일치 하는 순간에만 이루어 지게 되는데, 다양한 물질들의 기준맥동(BPR)들이 달라서 [[ctd:​ARPS]] 가 일치하는 순간이 늘 똑같은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의 이동은 오로지 [[ctd:​ARPS]] 가 일치 하는 순간에만 이루어 지게 되는데, 다양한 물질들의 기준맥동(BPR)들이 달라서 [[ctd:​ARPS]] 가 일치하는 순간이 늘 똑같은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
  
 우리는 이 현상을 이중슬릿 실험에서도 찾아 볼수가 있다. ​ 우리는 이 현상을 이중슬릿 실험에서도 찾아 볼수가 있다. ​
Line 129: Line 129:
 한개의 전자가 두개의 슬릿을 통과 후 디텍터 스크린에 찍힌 모습이 마치 파동 같이 서로의 간섭무늬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보고 우리는 입자들이 입자임과 동시에 파동의 성질을 가진 이중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정의 하게 되었다. 전자를 하나씩만 쏴서 2개의 슬릿을 통과 시킨 후 스크린에 점으로 찍히는 것을 반복하다 보면 간섭 무늬 형태의 패턴이 나타기 때문이다. ​ 한개의 전자가 두개의 슬릿을 통과 후 디텍터 스크린에 찍힌 모습이 마치 파동 같이 서로의 간섭무늬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보고 우리는 입자들이 입자임과 동시에 파동의 성질을 가진 이중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정의 하게 되었다. 전자를 하나씩만 쏴서 2개의 슬릿을 통과 시킨 후 스크린에 점으로 찍히는 것을 반복하다 보면 간섭 무늬 형태의 패턴이 나타기 때문이다. ​
  
-{{  ​http://rogerkim.cdn3.cafe24.com/ctd/DoubleSlit.gif  }}+{{  ​https://i.makeagif.com/media/​8-31-2015/NaTeXb.gif  }}
  
 여기서 우리는 디텍터 스크린에서 전자가 입자 형태로 찍히는 순간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자세히 들여다 보고자 한다. ​ 여기서 우리는 디텍터 스크린에서 전자가 입자 형태로 찍히는 순간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자세히 들여다 보고자 한다. ​
ctd/one_electron_universe.txt · Last modified: 2024/05/06 11:15 by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