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ing The Dots

아빠의 우주연구

User Tools

Site Tools


ctd:one_electron_univers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Both sides next revision
ctd:one_electron_universe [2024/03/28 13:47]
admin [Double Slit Experiments]
ctd:one_electron_universe [2024/04/10 06:30]
admin [Seth Speaks]
Line 129: Line 129:
 한개의 전자가 두개의 슬릿을 통과 후 디텍터 스크린에 찍힌 모습이 마치 파동 같이 서로의 간섭무늬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보고 우리는 입자들이 입자임과 동시에 파동의 성질을 가진 이중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정의 하게 되었다. 전자를 하나씩만 쏴서 2개의 슬릿을 통과 시킨 후 스크린에 점으로 찍히는 것을 반복하다 보면 간섭 무늬 형태의 패턴이 나타기 때문이다. ​ 한개의 전자가 두개의 슬릿을 통과 후 디텍터 스크린에 찍힌 모습이 마치 파동 같이 서로의 간섭무늬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보고 우리는 입자들이 입자임과 동시에 파동의 성질을 가진 이중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정의 하게 되었다. 전자를 하나씩만 쏴서 2개의 슬릿을 통과 시킨 후 스크린에 점으로 찍히는 것을 반복하다 보면 간섭 무늬 형태의 패턴이 나타기 때문이다. ​
  
-<​HTML>​ +{{  https://i.makeagif.com/media/8-31-2015/NaTeXb.gif  }}
-<img src="​https://​blogfiles.pstatic.net/​MjAyNDAzMjZfMTkx/​MDAxNzExNDI2Mzc4MzI4.w09gnwh4YAZCAGY0ABtFuCY6xSqEqm1tTyVbZHsS8qEg.esT8OinrkL7u_F8gjWyBnWLS-lWn3z1qSCPnrV3JyBYg.GIF/​DoubleSlit.gif?​type=w800"​ /> +
-</​HTML>​ +
- +
-{{  https://blogfiles.pstatic.net/MjAyNDAzMjZfMTkx/MDAxNzExNDI2Mzc4MzI4.w09gnwh4YAZCAGY0ABtFuCY6xSqEqm1tTyVbZHsS8qEg.esT8OinrkL7u_F8gjWyBnWLS-lWn3z1qSCPnrV3JyBYg.GIF/DoubleSlit.gif  }}+
  
 여기서 우리는 디텍터 스크린에서 전자가 입자 형태로 찍히는 순간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자세히 들여다 보고자 한다. ​ 여기서 우리는 디텍터 스크린에서 전자가 입자 형태로 찍히는 순간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자세히 들여다 보고자 한다. ​
Line 387: Line 383:
 <span center> KHY-Site5 Mt. Fuji - Controls lower Cathedral 4 complex site Bali (Sun 5) </​span>​ <span center> KHY-Site5 Mt. Fuji - Controls lower Cathedral 4 complex site Bali (Sun 5) </​span>​
  
 +
 +====== Blinking Universe ======
 +
 +이 글은 [[ctd:One Electron Universe]] 의 부록입니다.
 +
 +===== Richard Lighthouse =====
 +
 +{{  https://​www.rlighthouse.com/​uploads/​1/​0/​3/​6/​103654024/​published/​rl1.jpg ​ }}
 +\\ 
 +스탠포드 기계학부 석사를 졸업하고 NASA 에 근무 했었던 Richard Lighthouse. 그는 제인 로버츠가 채널링한 Seth Speaks 책의 정보를 통해서 영감을 얻어서 깜박이는 우주(Blinking Universe)에 대한 수식을 정립하고 현대물리학의 소립자 스탠다드 모델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
 +[[https://​odysee.com/​@PROJECTCAMELOT:​d/​richard-lighthouse-energy-scientist-re:​2?​t=630| 2017년 프로젝트 카멜롯 인터뷰 - 깜박이는 우주에 대한 설명(10분30초) ]]
 +
 +Richard 의 공식 홈페이지:​ https://​www.rlighthouse.com
 +
 +리차드는 뉴에이지 같은 가설에서 한발자국 떨어져서 오로지 수식으로 이것을 표현 하고자 노력하는 과학자의 입지를 견지 하고 있으나 역설적으로 그의 탐험이 시간여행 이라든지 911 WTC 스칼라파 주파수 공격(Photo-radionic Pulse) 같은 의혹을 풀어내는 역할을 해내고 있다. ​
 +
 +===== Seth Speaks =====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114081|육체가 없지만 나는 이책을 쓴다 (제인 로버츠)]]
 +
 +{{youtube>​uYutBRNUYVc}} ​
 +\\ 
 +"​육체는 감정이 집중된 결과입니다. 그리고, 정신의 에너지는 육체를 창조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유지시킵니다. 육체는 절대 지속적인 사물이 아닙니다. 여러분의 눈에는 지속적인 것으로 보이겠지만 말입니다. 어쨌든 그것은 끊임없이 맥동하는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육체는 실제로는 에너지의 본질과 구조로 인해 __깜박거리고__ 있습니다."​ (3분20초)
 +
 +===== Clif High 의 Bloop Theory =====
 +
 +우리의 우주가 초당 22조로 깜박이고 있다는 설명을 하는 [[ctd:​scrap:​clif_high|Clif High]]의 Bloop Theory
 +
 +{{youtube>​zFv4hwC-9p0}}
 +
 +\\ \\ 
 +===== Twinkle Twinkle Little Star =====
 +
 +외계의 양성자 해킹(!)으로 우주의 별이 깜박이는 장면이 나오는 드라마 "​삼체"​
 +
 +{{youtube>​GdL782lbhHQ}}
  
ctd/one_electron_universe.txt · Last modified: 2024/05/06 11:15 by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