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ing The Dots

아빠의 우주연구

User Tools

Site Tools


ctd:timewav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Both sides next revision
ctd:timewave [2019/05/01 16:46]
admin [EFFI Infinitum]
ctd:timewave [2022/03/10 12:09]
admin [CosMY'ah]
Line 7: Line 7:
 이 두개의 Veca 가 발생하는 선상을 **'​확률적 벡터 선상'​(Probability Vector Line)** 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Vector Line 에는 두개의 Veca 가 한쌍으로 존재한다. ​ 이 두개의 Veca 가 발생하는 선상을 **'​확률적 벡터 선상'​(Probability Vector Line)** 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Vector Line 에는 두개의 Veca 가 한쌍으로 존재한다. ​
  
-{{ctd:​TimeWave_VectorLine.svg}}+{{ctd:​TimeWave_VectorLine.svg?480}}
  
 벡터바디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물질계의 **'​이토레이 시스템'​(EtorA System)**과 영성계 **'​아도레이 시스템'​(AdorA System)** 으로 나뉜다. ​ 벡터바디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물질계의 **'​이토레이 시스템'​(EtorA System)**과 영성계 **'​아도레이 시스템'​(AdorA System)** 으로 나뉜다. ​
Line 135: Line 135:
 그러나 [[https://​youtu.be/​q1mkjkTqg0Y|우리 우주의 크기]]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여러개의 '​코스모스'​(Cosmos)들이 특정 형태들로 조직화되어 하나의 거대한 ‘지성체’(Intelligence)를 이루는 **'​메타구조'​(Meta-structures)** 들이 존재하며,​ 여기서 ‘카타라 그리드’([[ctd:​Kathara|Kathara Grid]]) 에서 소개되었던 ​ **‘루셰 코드’(Reuche Krist Cross)** 포메이션(formation)이 다시 등장하게 된다. ​ 그러나 [[https://​youtu.be/​q1mkjkTqg0Y|우리 우주의 크기]]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여러개의 '​코스모스'​(Cosmos)들이 특정 형태들로 조직화되어 하나의 거대한 ‘지성체’(Intelligence)를 이루는 **'​메타구조'​(Meta-structures)** 들이 존재하며,​ 여기서 ‘카타라 그리드’([[ctd:​Kathara|Kathara Grid]]) 에서 소개되었던 ​ **‘루셰 코드’(Reuche Krist Cross)** 포메이션(formation)이 다시 등장하게 된다. ​
 ===== Cos-MĀ'​-yah Cluster ===== ===== Cos-MĀ'​-yah Cluster =====
-12개의 '​코스모스 매트릭스'​(Cosmos Matrices)들이 '​루셰 모나드 구성'​(Reuche Monadic Configuration)을 이루는 것을 **'​코스야 클러스터'​(Cos-MĀ'​-yah Cluster)** 라고 부른다. ​+12개의 '​코스모스 매트릭스'​(Cosmos Matrices)들이 '​루셰 모나드 구성'​(Reuche Monadic Configuration)을 이루는 것을 **'​코스야 클러스터'​(Cos-MĀ'​-yah Cluster)** 라고 부른다. ​
  
-'​루셰'​(Reuche) 는 '​카타라 격자'​([[ctd:​Kathara|Kathara Grid]])가 고도화 되면서 '​엑카샤'​(Eckasha) 최종단계에 십자가 배열로 나타나는 '​왕홀'​(王笏:​Scepters)이라 부르는 12개의 에너지 기둥(Septors)을 뜻한다. ​+'​루셰'​(Reuche) 는 '​카타라 격자'​([[ctd:​Kathara|Kathara Grid]])가 고도화 되면서 '​엑카샤'​(Eckasha) 최종단계에 십자가 배열로 나타나는 '​왕홀'​(王笏:​Scepters)이라 부르는 12개의 에너지 기둥을 뜻한다. ​
  
 {{ctd:​timewave_cosmayah_reuche.svg?​500}} {{ctd:​timewave_cosmayah_reuche.svg?​500}}
  
-12개의 '​코스모스'​(Cosmos)가 모여서 만든 '​코스야 클러스터'​(Cos-MĀ'​-yah Cluster) 의 최종 모습은 다음과 같다. ​+12개의 '​코스모스'​(Cosmos)가 모여서 만든 '​코스야 클러스터'​(Cos-MĀ'​-yah Cluster) 의 최종 모습은 다음과 같다. ​
  
 {{ctd:​TimeWave_CosMAyah_Matrix_img_reused.svg?​400}} {{ctd:​TimeWave_CosMAyah_Matrix_img_reused.svg?​400}}
Line 151: Line 151:
 ===== CosMY'​ah ===== ===== CosMY'​ah =====
  
-'​코스야'​(Cos-MĀ'​-yah) 7개가 모여서 **'​코스-미아'​(CosMY'​ah)** 를 이룬다. ​+'​코스야'​(Cos-MĀ'​-yah) 7개가 모여서 **'​코스-마야'​(CosMY'​ah)** 를 이룬다. ​
  
 {{ctd:​TimeWave_CosMY'​ah.svg}}\\ ​ {{ctd:​TimeWave_CosMY'​ah.svg}}\\ ​
 //​(CosMY'​ah = 7 x Cos-MĀ'​-yah + 1 Internal Creation Cos-Min-Yahas)//​ //​(CosMY'​ah = 7 x Cos-MĀ'​-yah + 1 Internal Creation Cos-Min-Yahas)//​
  
-이때 가운데 작은 '​코스-미아'​(CosMY'​ah)가 하나 더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이것을 특별히 **'​코스-민-야스'​(Cos-Min-Yahas)** 라고 부르는데,​ 태초에 우주가 탄생했을때 첫번째로 나타난 8개의 '​배아세포군'​(1st 8 Cell Cluster)을 의미한다. 내부창조계에 속해있는 '​7개의 영속적인 태양'​ 그리고 보이지 않는 '​8번째 태양'​(8th Hidden Sun of Cos-Min-Yahas)이 바로 여기에 위치 하고 있다. ​+이때 가운데 작은 '​코스-마야'​(CosMY'​ah)가 하나 더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이것을 특별히 **'​코스-민-야스'​(Cos-Min-Yahas)** 라고 부르는데,​ 태초에 우주가 탄생했을때 첫번째로 나타난 8개의 '​배아세포군'​(1st 8 Cell Cluster)을 의미한다. 내부창조계에 속해있는 '​7개의 영속적인 태양'​ 그리고 보이지 않는 '​8번째 태양'​(8th Hidden Sun of Cos-Min-Yahas)이 바로 여기에 위치 하고 있다. ​
  
 그렇다! 드디어 **'​영속적인 내부창조계'​(Eternal Internal Creation)**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구조에 도달한 것이다. 그렇다! 드디어 **'​영속적인 내부창조계'​(Eternal Internal Creation)**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구조에 도달한 것이다.
Line 192: Line 192:
 3개의 '​아후스트리아 자투'​(Ahu-Stri'​-yah Jha'​-TU)로 이루어진 '​에피'​(EFFI)는 대우주 탄생 시초에 발생해서 영속하고 있는 집단 지성체를 의미한다. 3개의 '​아후스트리아 자투'​(Ahu-Stri'​-yah Jha'​-TU)로 이루어진 '​에피'​(EFFI)는 대우주 탄생 시초에 발생해서 영속하고 있는 집단 지성체를 의미한다.
  
-'​에피'​(EFFI)의 트라이-베카(Tri-VecaHoly Trinity) 구조를 눈여겨 보기 바란다. ​+'​에피'​(EFFI)의 트라이-베카(Tri-Veca ​the Holy Trinity) 구조를 눈여겨 보기 바란다. ​
  
 두개로 갈라져 내려온 '​아후스트리아 자투'​(Ahu-Stri'​-yah Jha'​-TU)는 하나로 모인 후 다시 위에 하나와 합쳐지는 거대한 호흡을 반복 하고 있다. ​ 두개로 갈라져 내려온 '​아후스트리아 자투'​(Ahu-Stri'​-yah Jha'​-TU)는 하나로 모인 후 다시 위에 하나와 합쳐지는 거대한 호흡을 반복 하고 있다. ​
Line 200: Line 200:
 //"Ta A'​jha-in'​ta DO'​-A"​\\ "Ta A'​jha-in'​ta DO'​-A"​\\ "Ta A'​jha-in'​ta DO'​-A"​ // //"Ta A'​jha-in'​ta DO'​-A"​\\ "Ta A'​jha-in'​ta DO'​-A"​\\ "Ta A'​jha-in'​ta DO'​-A"​ //
  
 +
 +{{tag>​EFFI}}
ctd/timewave.txt · Last modified: 2023/07/04 22:45 by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