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ctd:신성기하학 [2016/04/20 07:07] admin [신성기하학 (Sacred Geometry)] |
— (current) | ||
---|---|---|---|
Line 1: | Line 1: | ||
- | <WRAP warning round> | ||
- | 신성기하학 에는 **오랜 역사에 걸친 "기만"**이 숨겨져 있다. | ||
- | * [[http://thegatekeeperxix.nl.eu.org/post/55525998900/metatronic-flower-of-life-tree-of-life|Metatronic - Flower Of Life’ & ‘Tree Of Life’ Deceptions]] | ||
- | </WRAP> | ||
- | ===== 신성기하학 (Sacred Geometry) ===== | ||
- | 그 크기가 너무 커서 산으로 착각 하고 지나친다는 티벳의 거대한 하얀 피라미드([[http://survincity.com/2012/11/pyramids-of-tibet-kailash-a-transmitter-portal/|Great White Pyramid]])를 찾아서 80년대초 이름모를 탐험대가 탐험에 나선다. | ||
- | |||
- | 만년설에 둘러 싸여 1년중 2주만 열린다는 등정로를 2번의 도전 끝에 가까스로 피라미드에 도착한 탐험대는 기대와 달리 어떤 조각이나 표식도 발견하지 못하고, 오로지 통로 맨끝에 연결된 방 벽에 그려져 있는 단 한개의 도형 만을 발견 한다.(([[https://books.google.co.kr/books?id=_WI-ocomMkAC&pg=PA31&lpg=PA31|Serpent Of Light]] 책 발췌문))\\ | ||
- | {{ctd:DaisyOfDeath.png}}\\ | ||
- | <del>생명의꽃(Flower of life)</del>(([[http://www.emeraldguardians.nl.eu.org/2012/05/this-is-what-is-commonly-reffered-to-as_2252.html|Daisy of Death]] 라는 주장이 있다)) 이라고 불리우는 이 문양은 세계 도처에서 발견 된다. | ||
- | |||
- | {{ctd:abydos_floweroflife.jpg}}\\ | ||
- | (이집트 Abydos에 Osirion 신전 기둥)\\ | ||
- | {{ctd:forbiddencity_floweroflife.jpeg}}\\ | ||
- | (자금성의 사자성 발톱안)\\ | ||
- | {{http://www.bibliotecapleyades.net/imagenes_ciencia/geomsag06_06.jpg?300}}\\ | ||
- | (인디아 Amistar) | ||
- | |||
- | 신성기하학에는 자연과 우주의 운행 원리가 숨어 있다고 전해진다. | ||
- | |||
- | <WRAP warning round> | ||
- | 경고! \\ <del>[[ctd:Drunvalo Melchizedek]]</del> 이 전하는 60도로 그려진 생명의꽃(Flower of life)과 MerKaBa (34/21 ratio) 구동방식은 [[http://www.emeraldguardians.nl.eu.org/2012/05/this-is-what-is-commonly-reffered-to-as_2252.html|교묘히 왜곡된 거짓된 정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 ||
- | </WRAP> | ||
- | |||
- | |||
- | 이 분야에 유명한 사람이 있다 | ||
- | * <del>드룬발로 말키지덱([[ctd:Drunvalo Melchizedek]])</del>: 드룬발로는 한마디로 서양판 도인이다. 난해한 신성 기하학을 풀이한 [[http://www.amazon.com/Ancient-Secret-Flower-Life-Vol/dp/1891824171|Flower of Life]] 책으로 유명해 졌으며 토착 원주민의 여러가지 밀교(esoteric)를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교를 열기도 한다. | ||
- | |||
- | * 나심 하라메인([[ctd:Nassim Haramein]]): 나심은 어렸을때 부터 호기심의 경계를 과학 저너머 까지 넓혀나간 (자칭)과학자다. 유사과학으로 비판 받는 나심의 철학과 이론은 직관과 상상력을 무기로 주류 과학계를 앞선 내용들을 제시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기도 한다. | ||
- | |||
- | ==== Spirit Science - Sacred Geometry Movie ==== | ||
- | 짧게 설명하기 힘든 주제인 관계로 재미있게 풀이하는 동영상을 보고 감상 하는게 좋겠다. | ||
- | |||
- | {{youtube>FSmdSw9eEIA?small}} | ||
- | \\ | ||
- | ==== Platonic Solid (플라톤 입체기하학) ==== | ||
- | 3차원 공간상에서 파동은 구(Sphere) 모양으로 퍼져 나간다. | ||
- | |||
- | 하나의 파동이([[ctd:Prime Radiant]]) 무수히 겹쳐서 만들어지는 물리적 세상은 정다면체 모양의 지극히 원초적인 기하학적 패턴으로 전개된다. | ||
- | 일찌감치 이 법칙의 단순함과 아름다움을 탐구하던 플라톤은 "신은 기하학적으로 사고한다" 는 유명한 말과 함께 세상을 구성하는 5가지 "플라톤 입체"([[http://en.wikipedia.org/wiki/Platonic_solid| Platonic Solid]]) 모형을 남겼다. (사실은 [[http://en.wikipedia.org/wiki/Rhombic_dodecahedron|Rhombic Dodecahedron]] 을 포함 6개다) | ||
- | |||
- | 이 입체 모형은 __만물이 스스로 정렬되는 기본 체계__를 나타낸다. | ||
- | |||
- | 신성기하학의 다면체는 물리적 특성의 일반 다면체 6가지(Sphere를 제외한)와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0&contents_id=325|초월 차원]] 다면체 3가지로 나뉜다. | ||
- | |||
- | Regular Polyhedral Solid (단면) | ||
- | - [[http://en.wikipedia.org/wiki/Sphere|Sphere]] (0) | ||
- | - [[http://en.wikipedia.org/wiki/Tetrahedron|Tetrahedron]] (4) | ||
- | - [[http://en.wikipedia.org/wiki/Cube|Hexahedron]] (6) | ||
- | - [[http://en.wikipedia.org/wiki/Octahedron|Octahedron]] (8) | ||
- | - [[http://en.wikipedia.org/wiki/Dodecahedron|Pentagonal Dodecahedron]] (12) | ||
- | - [[http://en.wikipedia.org/wiki/Rhombic_dodecahedron|Rhombic Dodecahedron]] (12) | ||
- | - [[http://en.wikipedia.org/wiki/Icosahedron|Icosahedron]] (20) | ||
- | Hyper Dimensional Polyhedral Solid (단면) | ||
- | - [[http://en.wikipedia.org/wiki/Tetragrammaton|Tetragrammaton]] (20) | ||
- | - [[http://en.wikipedia.org/wiki/Tesseract|Hypercube]] (42) | ||
- | - [[http://en.wikipedia.org/wiki/N-sphere|Hypersphere]] (∞) | ||
- | |||
- | Regular Polyhedral Solid | ||
- | ^Name^Shape^ ^ | ||
- | |[[http://en.wikipedia.org/wiki/Sphere|Spher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0/Sphere_rotating.gif?100}} | | | ||
- | |[[http://en.wikipedia.org/wiki/Tetrahedron|Tetr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0/Tetrahedron.gif?100}} |화(火)| | ||
- | |[[http://en.wikipedia.org/wiki/Cube|Hex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8/Hexahedron.gif?100}}|지(地)| | ||
- | |[[http://en.wikipedia.org/wiki/Octahedron|Oct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4/Octahedron.gif?100}}|풍(風)| | ||
- | |[[http://en.wikipedia.org/wiki/Dodecahedron|Pantagonal]] -\\ [[http://en.wikipedia.org/wiki/Dodecahedron|Dodec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3/Dodecahedron.gif?100}}|aether| | ||
- | |[[http://en.wikipedia.org/wiki/Rhombic_dodecahedron|Rhombic]] -\\ [[http://en.wikipedia.org/wiki/Rhombic_dodecahedron|Dodec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1/Rhombicdodecahedron.gif?100}}| | | ||
- | |[[http://en.wikipedia.org/wiki/Icosahedron|Icos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2/Icosahedron.gif?100}}|수(水)| | ||
- | |||
- | Hyper Dimensional Polyhedral Solid | ||
- | ^Name^Shape^ ^ | ||
- | |[[http://en.wikipedia.org/wiki/Tetragrammaton|Tetragrammaton]]\\ [[http://en.wikipedia.org/wiki/5-cell|(5-cell)]]|{{http://img.myconfinedspace.com/wp-content/uploads/tdomf-2/506495/1277465744307.gif?100}} |중력| | ||
- | |[[http://en.wikipedia.org/wiki/Tesseract|Hypercub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5/55/Tesseract.gif?100}}|차원| | ||
- | |[[http://en.wikipedia.org/wiki/N-sphere|Hyperspher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f/Clifford-torus.gif?100}} |평행현실| | ||
- | |||
- | [[http://www.basharstore.com/the-tesseract-workshop/|bashar.org - The Tesseract Workshop]] | ||
- | |||
- | Tetragrammaton 은 이스라엘의 경전에 나오는 신 YHWH 의 히브리어 4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중력과 관련이 있다. | ||
- | ==== Ark of the covenant (성궤) ==== | ||
- | 모세의 기적에 대한 다른 관점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 ||
-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43111&cid=41788&categoryId=41793| Naver 지식백과 - 성궤]] | ||
- | - [[http://youtu.be/ZGzQcgw54Gc|Nassim Haramein on the Ark of the Covenant and The Knights Templar]] | ||
- | - [[http://youtu.be/cJB_o516Y8g|YHWH Tetragrammaton A Gravity Generator]] | ||
- | |||
- | 이집트 마술사들과 "마술 배틀"을 벌인 모세는 결국 10번째 재앙을 끝으로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이집트를 떠나도 된다는 파라오의 허락을 받는다. 그러나 떠난지 얼마 안되서 파라오는 __무슨 이유에서 인지__ 병사를 모아 이들을 급히 추격하기 시작 한다. 그 이후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한 홍해를 가르는 모세의 기적으로,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갈라진 홍해를 가로질러 탈출에 성공하고 그들을 바짝 뒤 쫒아오던 이집트 병사들은 모두 바다에 수장되는 수모를 겪는다. | ||
- | |||
- | 물을 가르는 기적은 여호수아 [[http://kcm.co.kr/bible/kor/Jos3.html|3장 15~17절]], [[http://kcm.co.kr/bible/kor/Jos4.html|4장 7~18절]]에도 등장한다. 요르단강 앞에서 성궤를 짊어진 제사장들이 발을 물에 담그자 상류 물의 흐름이 멈추기 시작하고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건널때 까지 성궤와 함께 강 중심에 서서 대기하는 장면이 묘사 되고 있다.\\ | ||
-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0/Benjamin_West_-_Joshua_passing_the_River_Jordan_with_the_Ark_of_the_Covenant_-_Google_Art_Project.jpg/640px-Benjamin_West_-_Joshua_passing_the_River_Jordan_with_the_Ark_of_the_Covenant_-_Google_Art_Project.jpg?320|요르단강을 건너는 성궤}} | ||
- | |||
- | [[http://kcm.co.kr/bible/kor/Exo25.html|출애굽기 25장 10~22]]의 묘사에 따르면 성궤는 길이 1.5미터, 폭과 높이가 약 70cm의 아카시아 나무 안쪽과 바깥쪽을 전기 전도율이 가장 높은 금으로 둘러 쌓았으며, 맨위에는 날개를 접어 마주보고 있는 형상의 금으로 만들어진 두 천사가 놓여 있다. 금판막 사이를 나무 절연체로 겹겹이 분리한 성궤의 구조로 인해 실제 목적된 기능은 축전기(capacitor)라는 가설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 | ||
- | |||
- | 구약에 따르면 성궤는 방전되지 않도록 땅에 닿지 않게 보관 되었으며 쓰러지는 성궤를 잡다가 즉사(감전사)하는 경우도 기록되어 있다. 방사능이 방사되어 얼굴등에 화상을 입혔기 때문에 아무나 근처에 다가가지 못하게 하였으며 반드시 납처리가 된 차양막에 가려져 있도록 보관 되었었다. | ||
- | |||
-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8/Tissot_Moses_and_Joshua_in_the_Tabernacle.jpg?300}} | ||
- | |||
- | 1952년 사해 근처 동굴에서 발견된 [[http://en.wikipedia.org/wiki/Dead_Sea_Scrolls|사해문서]] 중 가장 특이한 문서는 파피루스가 아닌 순수한 동판([[http://en.wikipedia.org/wiki/Copper_Scroll|Copper Scroll]])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해독에 의하면 종교적 내용이 적힌 다른 문서와 달리 성궤를 구성하는 64개의 주요 재료나 구성품들이 숨겨져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목록이 그 내용이었다고 한다. 이 내용이 알려지면 수많은 보물 탐험가들에 의해 유물 이곳 저곳이 훼손 될 것을 우려하여 일반에게는 감춰져 있었으며, 그 후 유물학자 [[http://en.wikipedia.org/wiki/Vendyl_Jones|Vendyl Jones]]((그렇다! Vendyl Jones 로 부터 영감을 받아 인디아나 존스의 주인공이 탄생 되었다)) 에 의해 목록에 있는 몇개의 재료가 실제로 발견되었다. | ||
- | |||
- | 모세가 산에서 10계명이 적힌 "석판"을 들고 내려 왔다고 전해 졌으나 이는 구약의 원전인 토라(Torah)에 히브리어로 쓰여진 luchot(사파이어) 를 석판으로 잘못 해석한 것이라고 한다. 위 링크의 [[http://www.youtube.com/watch?v=cJB_o516Y8g#t=2030|동영상 33:50]]을 보면 사실 모세가 들고 내려온 것은 히브리어 글씨가 쓰여진 6면체 모양의 사파이어 물체로 성궤안에 놓이는 핵심 구성품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 하고 있다. | ||
- | |||
- | 성궤의 기원은 이집트시대 이전에 거석을 다루던 사전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
- | |||
- | 정리하자면 성궤는 "중력"을 조절하는 Tetragrammaton 의 축전기로서, 물을 가르거나 성벽을 무너뜨리는 용도([[http://kcm.co.kr/bible/kor/Jos6.html|여호수아 6장 4~20절]])로 활용 되었으며 중동 및 중세 유럽의 역사는 이 성궤의 힘을 소유하려는 전쟁으로 점철되어 왔었다. (독일 나치도 이 성궤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이는 영화 인디아나 존스에서도 나온다) | ||
- | |||
- | 모세가 이집트를 탈출 하는 장면으로 잠시 돌아가 보자. | ||
- | |||
- | {{http://www.historyonthenet.com/files/fs/egyptians/images/greatpyramiddiagram.jpg?320}}\\ | ||
- | 이집트 大피라밋은 왕의 무덤이라고 하기에는 화려한 장식이나 문양도 없고 좁은 통로와 긴 터널 끝에 그 용도를 알 수 없는 3개의 방(chamber)이 존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연의 일치일지 모르겠지만,그 중 왕의방(The King's chamber) 이라 불리우는 좁은 방 안에는 성궤의 크기와 딱 들어맞는 석관이 위치하고 있다.\\ | ||
- | {{http://www.guardians.net/images/coffer3.jpg}}\\ | ||
- | 피라밋의 원래 용도는 왕의 무덤이 아니라 전자기력 증폭장치라는 가설이 있다. | ||
- | |||
- | 파라오는 모세가 성궤(혹은 그 무언가)를 갖고 이집트를 탈출 했다는 것을 뒤늦게 알아차리고는 병사들을 모아 황급히 뒤 쫒아 갔으나 결국 홍해에 수장되어 버린다. | ||
- | |||
- | 믿거나 말거나... | ||
- | |||
- | ---- | ||
- | ∴ [[ctd:Merkaba]] | ||
- | {{tag>신성기하학 Gravity 성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