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ing The Dots

아빠의 우주연구

User Tools

Site Tools


ctd:전자와건강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ctd:전자와건강 [2022/12/22 08:51]
admin [원자의 구조]
ctd:전자와건강 [2024/05/23 23:54] (current)
admin
Line 11: Line 11:
 원자핵 중심에 고정되어 있는 양성자와 달리 전자는 원자의 표면을 타고 흘러 다니며 조건이 맞으면 원자의 경계를 넘어서는 이동이 가능하다.((더 정확하게는 원자 중심을 통해 전자가 들어갔다 나갔다(flasing on and off) 하는 것으로 원자 사이에 크리스마스 전구 같이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전자가 이동하는 환영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원자핵 중심에 고정되어 있는 양성자와 달리 전자는 원자의 표면을 타고 흘러 다니며 조건이 맞으면 원자의 경계를 넘어서는 이동이 가능하다.((더 정확하게는 원자 중심을 통해 전자가 들어갔다 나갔다(flasing on and off) 하는 것으로 원자 사이에 크리스마스 전구 같이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전자가 이동하는 환영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  https://i.stack.imgur.com/2Lt5W.gif?​300 ​ }}+{{  https://cdn.sparkfun.com/assets/​9/​5/​6/​1/​4/​519fcd42ce395f804c000000.gif?​300 ​ }}
  
 원자에 붙어있는 전자의 수에 따라 입자의 대전된 극성도 달라진다. 전자를 하나를 빼앗기면 양전하(+)가 되고 전자가 하나가 더 들어오면 음전하(-)로 대전된다. 원자에 붙어있는 전자의 수에 따라 입자의 대전된 극성도 달라진다. 전자를 하나를 빼앗기면 양전하(+)가 되고 전자가 하나가 더 들어오면 음전하(-)로 대전된다.
  
 원자핵은 공간상에서 입자의 위치를 특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자는 여기저기 옮겨 다니면서 입자간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원자핵은 공간상에서 입자의 위치를 특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자는 여기저기 옮겨 다니면서 입자간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
 ===== 이온결합 ===== ===== 이온결합 =====
  
 원소 간에 전자가 하나 이동하면서 서로 반대 극성이 되어 자석같이 달라붙는 것을 이온결합이라고 한다. ​ 원소 간에 전자가 하나 이동하면서 서로 반대 극성이 되어 자석같이 달라붙는 것을 이온결합이라고 한다. ​
  
-{{  ​http://study.zumst.com/upload/00-D22-81-38-04/3_8_a_%EC%9D%B4%EC%98%A8%20%EA%B2%B0%ED%95%A9%EC%9D%98%20%ED%98%95%EC%84%B1.jpg?​300 ​ }}+{{  ​https://www.chemistrylearner.com/wp-content/uploads/​2020/​09/​Ionic-Bond.jpg?​300 ​ }} 
  
 이온결합은 전자를 준 금속 양이온과 그 전자를 받은 비금속 음이온간의 전자기적 결합이다. ​ 이온결합은 전자를 준 금속 양이온과 그 전자를 받은 비금속 음이온간의 전자기적 결합이다. ​
Line 27: Line 29:
 다량의 금속원소 안에 있던 전자들이 풀려나와서 원자 사이사이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면서 서로를 엮어주는 결합을 금속결합이라고 한다. ​ 다량의 금속원소 안에 있던 전자들이 풀려나와서 원자 사이사이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면서 서로를 엮어주는 결합을 금속결합이라고 한다. ​
  
-{{  ​http://study.zumst.com/upload/00-d33-00-12-06/금속%20결정의%20전기%20전도성.png?400  }}+{{  ​https://letstalkscience.ca/sites/default/​files/​styles/​x_large/​public/​2020-11/free_electrons_with_without_electric_field.png?300  }}
  
 금속 결합의 특징은 전압이 가해지면 틈사이를 돌아다니던 자유전자들이 한쪽 방향으로 흐르기 시작 한다는 것이다. ​ 금속 결합의 특징은 전압이 가해지면 틈사이를 돌아다니던 자유전자들이 한쪽 방향으로 흐르기 시작 한다는 것이다. ​
Line 39: Line 41:
  
 공유전자로 만들어지는 공유결합(共有結合,​ covalent bond)의 특징은 양쪽 원자에서 제공된 **전자끼리 ‘짝’(pair)**을 이루면서 서로 공유된다는 점이다. 공유전자로 만들어지는 공유결합(共有結合,​ covalent bond)의 특징은 양쪽 원자에서 제공된 **전자끼리 ‘짝’(pair)**을 이루면서 서로 공유된다는 점이다.
- 
- 
  
  
Line 47: Line 47:
 우리의 물질우주는 전자기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의 몸은 생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자기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생물학적 체계를 갖고 있다. 우리의 물질우주는 전자기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의 몸은 생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자기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생물학적 체계를 갖고 있다.
  
-{{  https://www.extremetech.com/wp-content/​uploads/​2011/​12/​duracell_matrix.jpg?​260 ​ }}+{{  https://i.redd.it/c3649caab3781.jpg?​260 ​ }}
  
 몸속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화학적 반응을 일일이 다 따져보기는 어려우므로,​ 이제부터 이어질 설명을 위해 전자를 '​빛으로 만들어진 에너지 알갱이(Photon)'​ 라고 극도로 단순화 해보자. ​ 몸속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화학적 반응을 일일이 다 따져보기는 어려우므로,​ 이제부터 이어질 설명을 위해 전자를 '​빛으로 만들어진 에너지 알갱이(Photon)'​ 라고 극도로 단순화 해보자. ​
Line 123: Line 123:
 맨땅에 맨발걷기가 어려울때는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전원 콘센트의 접지단자를 이용해서 지구와 몸을 전기적으로 연결 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당신의 집에 있는 전원 콘센트의 접지가 제대로 되어 있다는 가정이 전제되어 있다. 요즘 지어지는 아파트 들은 접지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의외로 오래된 집에서는 접지가 제대로 안되어 있는 경우도 꽤 있다. 이런경우는 오히려 반대효과가 있을 수도 있으니 접지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맨땅에 맨발걷기가 어려울때는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전원 콘센트의 접지단자를 이용해서 지구와 몸을 전기적으로 연결 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당신의 집에 있는 전원 콘센트의 접지가 제대로 되어 있다는 가정이 전제되어 있다. 요즘 지어지는 아파트 들은 접지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의외로 오래된 집에서는 접지가 제대로 안되어 있는 경우도 꽤 있다. 이런경우는 오히려 반대효과가 있을 수도 있으니 접지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  ​https://cdn.clien.net/​web/​api/​file/​F01/​7518633/​18f3abc2bd403.jpg?​400  }}+<​HTML><​img src="https://edgio.clien.net/​F01/​7518633/​18f3abc2bd403.jpg?​scale=width[740],​options[limit]"​ width="​500"/></​HTML>​
  
 콘센트 접지가 여의치 않으면 수도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을수 있다. 금속으로 된 수도 파이프는 지하 깊은 곳을 통과하기 때문에 훌륭한 접지 역할을 해낸다. 전기 흐름으로 인한 파이프 부식을 우려하는 이야기도 있지만 인체에서 흐르는 미세전류 정도로는 그 효과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콘센트 접지가 여의치 않으면 수도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을수 있다. 금속으로 된 수도 파이프는 지하 깊은 곳을 통과하기 때문에 훌륭한 접지 역할을 해낸다. 전기 흐름으로 인한 파이프 부식을 우려하는 이야기도 있지만 인체에서 흐르는 미세전류 정도로는 그 효과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
 +===== Etc =====
 +[[https://​youtu.be/​F054MSUzgHU|electron spin by hand sign]]
  
ctd/전자와건강.1671666716.txt.gz · Last modified: 2022/12/22 08:51 by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