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ctd:capital_letters [2023/01/30 22:13] admin [USA,INC.] |
ctd:capital_letters [2024/05/05 08:13] (current) admin [USA,INC.] |
||
---|---|---|---|
Line 195: | Line 195: | ||
이제 당신은 바티칸 상징(Emblem)의 수수께끼를 풀수 있게 된 셈이다. | 이제 당신은 바티칸 상징(Emblem)의 수수께끼를 풀수 있게 된 셈이다. | ||
-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b/b1/Emblem_of_Vatican_City.svg?160 }} | +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1/Emblem_of_the_Papacy_SE.svg?160 }} |
당신의 하늘로부터 주어진 권리 계좌를 여는 황금 열쇠와 지상의 거래 계좌를 관리하는 은색 열쇠 두가지를 모두 쥐고 흔드는 곳이 VAT-I-CAN 즉 "나는 모든 저장고([[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vat|VAT]]: :a large vessel 혹은 Value-Added Tax)를 쥐고 있다" 라는 뜻인 셈이다. | 당신의 하늘로부터 주어진 권리 계좌를 여는 황금 열쇠와 지상의 거래 계좌를 관리하는 은색 열쇠 두가지를 모두 쥐고 흔드는 곳이 VAT-I-CAN 즉 "나는 모든 저장고([[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vat|VAT]]: :a large vessel 혹은 Value-Added Tax)를 쥐고 있다" 라는 뜻인 셈이다. | ||
Line 264: | Line 264: | ||
**1861**: 미국의 남북전쟁(Civil War)이 시작 되자 링컨은 델라웨어에 회사 거처를 옮기고 전시태세로 돌리는 동안 국회(Congress)의원들을 일개 회사의 이사회(Board of Directors) 같이 부리기 시작 하였다. | **1861**: 미국의 남북전쟁(Civil War)이 시작 되자 링컨은 델라웨어에 회사 거처를 옮기고 전시태세로 돌리는 동안 국회(Congress)의원들을 일개 회사의 이사회(Board of Directors) 같이 부리기 시작 하였다. | ||
- | **1862**: 전쟁통에 정신 없는 틈을 타서 링컨의 국회(Corporate Congress)는 "미합중국"(United States) 산하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의미 하나를 특별히 재정의 하도록 입법 하였는데 그 단어가 바로 **"Person"(인물)** 에 대한 해석이었다. 바로 "연방정부"(Federal Government)하에서 사용되는 "Person" 이라는 단어는 "Corporation"(회사) 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는 조항을 법제화 한 것이다. ([[https://memory.loc.gov/ammem/amlaw/lwcglink.html#anchor37|37th “Congress”– Second Session, Chapter 49, Section 68]]) 이 조항의 삽입으로 인해 "미합중국"(United States) 산하에 "시민"(Citizen)으로 계약된 "개인"(Person)들은 주권을 가진 개인이 아니라 기업의 일부와 같이 자산 취급을 할 수 있다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 + | **1862**: 전쟁통에 정신 없는 틈을 타서 링컨의 국회(Corporate Congress)는 "미합중국"(United States) 산하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의미 하나를 특별히 재정의 하도록 입법 하였는데 그 단어가 바로 **"Person"(인물)** 에 대한 해석이었다. 바로 "연방정부"(Federal Government)하에서 사용되는 "Person" 이라는 단어는 "Corporation"(회사) 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는 조항을 법제화 한 것이다. ([[https://memory.loc.gov/ammem/amlaw/lwcglink.html#anchor37|37th “Congress”– Second Session, Chapter 49, Section 68]])([[https://memory.loc.gov/cgi-bin/ampage?collId=llcg&fileName=058/llcg058.db&recNum=832|1]]) 이 조항의 삽입으로 인해 "미합중국"(United States) 산하에 "시민"(Citizen)으로 계약된 "개인"(Person)들은 주권을 가진 개인이 아니라 기업의 일부와 같이 자산 취급을 할 수 있다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
**1865**: 리(Lee) 군대가 그랜트 에게 항복 하며 남북전쟁은 "휴전상태"(general armistic)로 바뀌게 된다. 남북 전쟁은 보통 국가에서 수행하는 공식적인 선전 포고도 없었으며 전쟁 종료 선언도 공식 문서로 존재하지 않는다. 북부의 임시정부 "미합중국"(United States)은 부도가 난 상태로 남북전쟁에서 승리 하였으며 남부는 전쟁으로 폐허가 되어서 재건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전쟁으로 부도가 난 미국의 재건을 돕는다는 명분하에 외국의 은행들에 의해 **"아메리카 미합중국, 주식회사."(United States of America, Inc.)**가 새로 세워지고 일시적으로 "유니언 군대"(Union Army)치하에 놓이게 된다. 즉 휴전 상태를 유지하여 국가 비상사태로 분위기를 계속 끌고 나가면서 새로운 정부를 세우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의도된 행위를 몰래 끼워 넣을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 한 것이다. 이후 "앤드류 존슨" 대통령에 의해 "미국령"(land jurisdiction of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에서의 평화가 공표 되었지만 영국황실의 관할 아래 있는 연방정부(Federal United State)산하의 "국제 해양권"(international jurisdiction of the Sea)에 대해서는 평화가 공표되지 않았다. 즉 "United State" 연방정부는 전략적으로 전시 상태를 그대로 유지 시킨 것이다. | **1865**: 리(Lee) 군대가 그랜트 에게 항복 하며 남북전쟁은 "휴전상태"(general armistic)로 바뀌게 된다. 남북 전쟁은 보통 국가에서 수행하는 공식적인 선전 포고도 없었으며 전쟁 종료 선언도 공식 문서로 존재하지 않는다. 북부의 임시정부 "미합중국"(United States)은 부도가 난 상태로 남북전쟁에서 승리 하였으며 남부는 전쟁으로 폐허가 되어서 재건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전쟁으로 부도가 난 미국의 재건을 돕는다는 명분하에 외국의 은행들에 의해 **"아메리카 미합중국, 주식회사."(United States of America, Inc.)**가 새로 세워지고 일시적으로 "유니언 군대"(Union Army)치하에 놓이게 된다. 즉 휴전 상태를 유지하여 국가 비상사태로 분위기를 계속 끌고 나가면서 새로운 정부를 세우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의도된 행위를 몰래 끼워 넣을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 한 것이다. 이후 "앤드류 존슨" 대통령에 의해 "미국령"(land jurisdiction of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에서의 평화가 공표 되었지만 영국황실의 관할 아래 있는 연방정부(Federal United State)산하의 "국제 해양권"(international jurisdiction of the Sea)에 대해서는 평화가 공표되지 않았다. 즉 "United State" 연방정부는 전략적으로 전시 상태를 그대로 유지 시킨 것이다. | ||
Line 271: | Line 271: | ||
^ 민간기(Civil Flag) ^ 미군기(Military Flag) ^ | ^ 민간기(Civil Flag) ^ 미군기(Military Flag) ^ | ||
-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3/United_States_civil_flag.svg?20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4/Flag_of_the_United_States.svg?200}} | | +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0/United_States_%22civil%22_flag_%28used_by_sovereign_citizens%29.svg/640px-United_States_%22civil%22_flag_%28used_by_sovereign_citizens%29.svg.png?20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4/Flag_of_the_United_States.svg?200}} | |
남북전쟁(Civil War)((지들이 벌여놓은 남북전쟁(Civil War)에 민간인들 끼리 싸워서 시작되었다고 왜곡 시키기 위해 “Civil” 자를 붙여놓은 치밀함 보소)) 전에는 줄무늬가 수직하게 놓여있는 민간기가 더 많이 사용 되었으나, 남북 전쟁 이후로는 군부를 상징하는 수평한 줄무늬의 성조기가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현재 미국의 정치 상황을 보면 남북전쟁이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것일지도 모를 일이다. | 남북전쟁(Civil War)((지들이 벌여놓은 남북전쟁(Civil War)에 민간인들 끼리 싸워서 시작되었다고 왜곡 시키기 위해 “Civil” 자를 붙여놓은 치밀함 보소)) 전에는 줄무늬가 수직하게 놓여있는 민간기가 더 많이 사용 되었으나, 남북 전쟁 이후로는 군부를 상징하는 수평한 줄무늬의 성조기가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현재 미국의 정치 상황을 보면 남북전쟁이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것일지도 모를 일이다. | ||
Line 286: | Line 286: | ||
|California|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1/Flag_of_California.svg?20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f/Seal_of_California.svg?200}} | | |California|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1/Flag_of_California.svg?20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f/Seal_of_California.svg?200}} | | ||
|Texas|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7/Flag_of_Texas.svg?20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b/Seal_of_Texas.svg?200}} | | |Texas|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7/Flag_of_Texas.svg?20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b/Seal_of_Texas.svg?200}} | | ||
- | |Arizona|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d/Flag_of_Arizona.svg?20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e/Arizona-StateSeal.svg?200}} | | + | |Arizona|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d/Flag_of_Arizona.svg?20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9/State_Seal_of_Arizona.svg?200}} | |
|New York|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a/Flag_of_New_York.svg?20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e/Seal_of_New_York_%28alternative%29.svg?200}} | | |New York|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a/Flag_of_New_York.svg?200}}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e/Seal_of_New_York_%28alternative%29.svg?200}} | | ||
Line 294: | Line 294: | ||
(그 자유의 여신상(Statue of Liberty) 조차 대륙에서 떨어진 섬에 세워져 있다는 것! 이들은 이렇게 꼼꼼하다!)\\ | (그 자유의 여신상(Statue of Liberty) 조차 대륙에서 떨어진 섬에 세워져 있다는 것! 이들은 이렇게 꼼꼼하다!)\\ | ||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9/Liberty_Island_photo_D_Ramey_Logan.jpg/1024px-Liberty_Island_photo_D_Ramey_Logan.jpg}} |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b/Liberty_Island_photo_Don_Ramey_Logan.jpg/640px-Liberty_Island_photo_Don_Ramey_Logan.jpg}} |
(참고: [[http://annavonreitz.com/howyouweredefrauded.pdf|US Corporation 설립의 역사]] 와 [[http://annavonreitz.com/fundamentalgovernmentstructure.pdf|용어정리]]) | (참고: [[http://annavonreitz.com/howyouweredefrauded.pdf|US Corporation 설립의 역사]] 와 [[http://annavonreitz.com/fundamentalgovernmentstructure.pdf|용어정리]]) | ||
Line 321: | Line 321: | ||
<WRAP centeralign> (과연 민낮이 드러난 USA호의 항해는 계속 될 수 있을 것인가?) </WRAP> | <WRAP centeralign> (과연 민낮이 드러난 USA호의 항해는 계속 될 수 있을 것인가?) </WRAP> | ||
- | [[https://www.bitchute.com/video/aPiq6qPq8oR6/|Clif High - US Law history in 30 min]] | + | [[https://clifhighvideos.com/20220902a/|Clif High - US Law history in 30 min]] |
<WRAP caution round> | <WRAP caution round> | ||
여기 나오는 이야기는 모두 소설에 불과하며 단지 지적 여흥(Entertainment)을 위해서 작성되었다. | 여기 나오는 이야기는 모두 소설에 불과하며 단지 지적 여흥(Entertainment)을 위해서 작성되었다. | ||
</WRAP> | </WRA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