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ing The Dots

아빠의 우주연구

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td:slides:timematrix:08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td:slides:timematrix:08 [2018/12/13 23:51]
admin
ctd:slides:timematrix:08 [2019/06/15 23:02] (현재)
줄 18: 줄 18:
 '​13세기 이탈리아 수학자 피보나치는 자연계에서 관찰되는 성장 수열을 발견하고 자연계의 법칙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피보나치 수열은 앞의 두숫자를 더해서 다음숫자를 만들어 이어나가는 특징이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13세기 이탈리아 수학자 피보나치는 자연계에서 관찰되는 성장 수열을 발견하고 자연계의 법칙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피보나치 수열은 앞의 두숫자를 더해서 다음숫자를 만들어 이어나가는 특징이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피보나치 수열에 따라 성장 곡선을 그리면 피보나치 나선이 나타납니다.피보나치 나선은 정사각형이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져가면서 커져가는 특징이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피보나치 수열에 따라 성장곡선을 그리면 피보나치나선이 나타납니다.피보나치나선은 정사각형이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져가면서,커져가는 특징이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피보나치와 달리 크리스탈 수열은 과거의 모든 숫자를 더해서 성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피보나치와 달리 크리스탈 수열은 과거의 모든 숫자를 더해서 성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근원으로부터 멀어지는 피보나치 성장은 끊임없이 바뀌는 원점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성장패턴을 반복하다 더 이상 빨아들일 에너지가 없을때 성장은 멈추고 죽음에 이루게 됩니다.^ 반면에 크리스탈 성장곡선은 중심점에 정렬되어 근원으로 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으며 영속적인 성장을 이루는 차이점이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근원으로부터 멀어지는 피보나치 성장은,끊임없이 바뀌는 원점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성장패턴을 반복하다 더 이상 빨아들일 에너지가 없을때 성장이 멈추고 죽음에 이루게 됩니다.^ 반면에 크리스탈 성장곡선은 중심점에 정렬되어 근원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으며 영속적인 성장을 이루는 차이점이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창조의 성장곡선 눈금을 하루로 본다면 일곱번째 되는 지점에서 두 곡선의 곡률이 교차하는 ​점이 발생하며 이를 메타트로닉 데스스타 하네스라고 부릅니다.교차되는 지점으로부터 에너지 착취가 일어나면서 점차 인간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었습니다.^ 천지창조를 이루던 신이 일곱번째 되는 날에 쉬었다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전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7일 주기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그러나 원래 창조에는 쉬는 날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곱번째 되는 날에 특정 장소로 모이게 해서 인류의 에너지를 채집하려는 목적은 아니였을까 한번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성장곡선의 차이는 에너지흐름의 차이로 이어집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창조의 성장곡선 눈금을,하루로 본다면,일곱번째 되는 지점에서 두 곡선의 곡률이 교차하는점이 발생하며,이를 메타트로닉 데스스타 하네스라고 부릅니다.교차되는 지점으로부터 에너지 착취가 일어나면서 점차 인간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었습니다.^ 천지창조를 이루던 신이,일곱번째 되는 날에 쉬었다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전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7일 주기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그러나 원래 창조에는 쉬는 날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곱번째 되는 날에,특정 장소로 모이게 해서,인류의 에너지를 채집하려는 목적은 아니였을까 한번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성장곡선의 차이는 에너지흐름의 차이로 이어집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나비모양의 네입클로버 입체교차로는 십자가 모양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도로의 흐름을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소통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나비모양의 네입클로버 입체교차로는 십자가 모양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도로의 흐름을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소통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줄 42: 줄 42:
 '​그러나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지면서 세차운동이 발생하고 토러스 모양의 음양의 전자기장이 지구를 감싸게 되었습니다.이 음양의 세차운동으로 인해 어쩔수 없이 지구의 생태계도 음양의 법칙에 따라 움직이게 되었습니다.^ 지구 주변에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토러스 모양의 전자기장을 가디언들은 죽음의 독사과라고 부릅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그러나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지면서 세차운동이 발생하고 토러스 모양의 음양의 전자기장이 지구를 감싸게 되었습니다.이 음양의 세차운동으로 인해 어쩔수 없이 지구의 생태계도 음양의 법칙에 따라 움직이게 되었습니다.^ 지구 주변에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토러스 모양의 전자기장을 가디언들은 죽음의 독사과라고 부릅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이 토러스 모양의 전자기장은 과학계에서도 관찰 되어서 반앨런 복사대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과학계에서는 위해한 태양풍을 막아주는 지구의 보호막으로 설명 하고 있지만 사실은 지구와 태양간의 자연스러운 에너지 교환을 차단하고 있으며,^ 지구의 에너지를 가둬서 태양계 바깥쪽으로 전송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이 토러스 모양의 전자기장은 과학계에서도 관찰 되어서 반앨런 복사대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과학계에서는 위해한 태양풍을 막아주는 지구의 보호막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사실은 지구와 태양간의 자연스러운 에너지교환을 차단하고 있으며,^ 지구의 에너지를 가둬서 태양계 바깥쪽으로 전송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지구의 에너지 누수는 과학계에서도 눈치채기 시작하였습니다.비틀어진 지구의 착취된 에너지는 은하계 중심으로 보내지고 있으며 거기에는 숨겨진 이유가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지구의 에너지 누수는 과학계에서도 눈치채기 시작하였습니다.비틀어진 지구의 착취된에너지는 은하계중심으로 보내지고 있으며 거기에는 숨겨진이유가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딥스페이스 관찰이 가능해진 20세기 후반,​우리는 관찰되는 모든 은하계의 중심에 거대블랙홀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딥스페이스 관찰이 가능해진 20세기 후반,​우리는 관찰되는 모든 은하계의 중심에 거대블랙홀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모든 은하계 중심에 블랙홀이 존재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일부는 믿을수 없을 정도로 거대한 크기를 갖고 있어서 은하계와 같은 성장 속도가 아님을 발견 하고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모든 은하계 중심에 블랙홀이 존재한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일부는 믿을수없을 정도로 거대한 크기를 갖고 있어서 은하계와 같은 성장속도가 아님을 발견 하고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2008년도에 우주의 에너지 분포를 관찰할 수 있는 페르미 감마선 망원경이 인공위성으로 쏴 올려졌습니다.과학자들은 페르미 감마선 망원경으로 인해 우주 전체의 에너지 지도를 그릴수 있게 되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2008년도에 우주의 에너지분포를 관찰할수 있는 페르미 감마선망원경이 인공위성으로 쏴 올려졌습니다.과학자들은 페르미 감마선망원경을 통해 우주 전체의 에너지지도를 그릴수 있게 되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2010년도에 과학자들은 페르미 망원경을 통해서 우리 은하계 중심에 5만광년 크기의 거대 감마선버블이,​위아래로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2010년도에,과학자들은 페르미망원경을 통해서 우리은하계 중심에 ​위아래로 ​5만광년 크기의 거대 감마선버블이,​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2012년도에는 페르미 버블 안쪽에 15도 경사로 기울어진 퀘이사 제트빔을 발견하게 됩니다.기울어진 퀘이사 제트빔은 은하계 회전축과 전자기장의 회전축이 기울어져 있음을 시사하고 있을수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2012년도에는 페르미버블 안쪽에 15도경사로 기울어진 퀘이사 제트빔을 발견하게 됩니다.기울어진 퀘이사 제트빔은 은하계 회전축과 전자기장의 회전축이 기울어져 있음을 시사하고 있을수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은하계 중심에 ​는 블랙홀로 빨려들어간 물질은 에너지로 분해되어서 ​웜홀로 연결된 ​반대쪽에 추락하는 위세닥 은하계의 에너지로 공급이 되고 있습니다.^ 이때 분해된 물질의 방사선이 우리 은하계 중심의 거대한 페르미 버블로 방출되고 있으며 가디언은 이를 은하계의 베시카 피시스,메타트로닉 인폴드라고 명명하고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우리은하계 중심에 ​존재하는 블랙홀로 빨려들어간물질은,에너지로 분해되어서,반대쪽에 추락하는 위세닥은하계의 에너지로 공급이되고 있습니다.^ 이때 분해된물질의 방사선이 우리은하계 중심의 거대한 페르미버블로 방출되고 있으며 가디언은 이를 은하계의 베시카피시스 메타트로닉 인폴드라고 명명하고 있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우리 은하계는 40억년후 M31 안드로메다와 충돌 하게 된다는 과학계의 연구결과가 있습니다.사실 우리 은하계와 M33 삼각형자리 은하는 안드로메다로부터 떨어져 나왔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우리은하계는 40억년후 M31 안드로메다와 충돌하게 된다는 과학계의 연구결과가 있습니다.사실 우리은하계와 M33 삼각형자리은하는 안드로메다로부터 떨어져 나왔습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그들의 최종목표는 안드로메다와 연결된 지구를 이용해서,​안드로메다까지 통째로 블랙홀에 끌어들이는 것입니다.이것이성공하면 20억년을 지탱할 에너지를,​추락하는 은하계로 공급할수 있게 됩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그들의 최종목표는 안드로메다와 연결된 지구를 이용해서,​안드로메다까지 통째로 블랙홀에 끌어들이는 것입니다.이것이성공하면 20억년을 지탱할 에너지를,​추락하는 은하계로 공급할수 있게 됩니다.<​prosody pitch="​high">​아래버튼.</​prosody>',​
ctd/slides/timematrix/08.154471270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15 23:02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