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ing The Dots

아빠의 우주연구

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td:slides:timematrix:12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td:slides:timematrix:12 [2019/01/02 11:50]
admin
ctd:slides:timematrix:12 [2019/06/15 23:02] (현재)
줄 7: 줄 7:
 '​끊임없이 허상을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이세상의 실상입니다. 당신은 이미 홀로그램우주에서 당신만의 허상을 현실로 현현하는 능력을 갖추고 태어났으며 단지 그것을 자각하고 있지 못할 뿐입니다. 아래버튼.',​ '​끊임없이 허상을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이세상의 실상입니다. 당신은 이미 홀로그램우주에서 당신만의 허상을 현실로 현현하는 능력을 갖추고 태어났으며 단지 그것을 자각하고 있지 못할 뿐입니다. 아래버튼.',​
  
-'​홀로그램은 여러각도로 투사되는 빛이 겹치면서 3차원으로 보이게 되는 현상을 뜻합니다. 홀로그램우주론의 요지는 구 모양으로 둘러싼 2차원 전자기장에 의해 3차원 물질들이 홀로그램으로 투사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 물질은 에너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안이 텅 비어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과학계는 ​홀로그램 ​가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인간이 관찰할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의 원자에서 ​반대로, 인간이 관찰할수 있는 가장큰 크기의, 우주배경복사를 살펴 보기로 합니다.^ 그러나 미시계에서 초거대 우주까지 아무리 살펴보아도 우리의 우주가 홀로그램으로 이루어졌다는 증거만 점점더 나타나고 있는 중입니다. 아래버튼.',​+'​홀로그램은 여러각도로 투사되는 빛이 겹치면서 3차원으로 보이게 되는 현상을 뜻합니다. 홀로그램우주론의 요지는 구 모양으로 둘러싼 2차원 전자기장 ​표면에 의해 3차원 물질들이 홀로그램으로 투사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 물질은 에너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안이 텅 비어있다는 사실을 알고도 ​홀로그램우주론에 의혹의 눈빛을 보내는 과학계는. 인간이 관찰할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의 원자에서,​ 인간이 관찰할수 있는 가장큰 크기의, 우주배경복사를 살펴 보기로 합니다.^ 그러나 미시계에서 초거대 우주까지 아무리 살펴보아도 우리의 우주가 홀로그램으로 이루어졌다는 증거만 점점더 나타나고 있을 뿐입니다. 아래버튼.',​
  
-'',​+'우주배경복사란,​ 우주배경에 깔려있는 전파를 감지해서 에너지 분포를 그려보는 것으로, 빅뱅으로 부터 퍼져 나갔다고 추정되는 에너지 잔상을 뜻합니다. 이것은 현재의 기술로 관찰 가능한,​가장 먼 외곽에 펼쳐져 있는 홀로그램 구체를 보는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아래버튼.',
  
-'',​+'중력장의 에너지 구체가, 먼 우주로부터 지구까지 겹겹이 둘러쌓여서 내려오는,​ 큰 에너지 풍선속에 들어있는 작은 에너지 풍선들이라는 상상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버튼.',
  
-'',​+'겹겹이 둘러쌓여 내려온 에너지 구체속에,​ 당신이 들어가 있는 당신만의 크리스탈 구슬을 통해 바깥세상을 바라보고 있다고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버튼.',
  
-'',​+'당신이 만약에 2차원 스크린속의 배우라고 가정하고 프로젝터의 광원을 바라본다면,​ 3차원 지구의 하늘위에 떠있는 태양과 유사한 모습을 보시게 됩니다. 아래버튼.',
  
-'',​+'2차원 프로젝터는 2차원 화면을 투사하지만,​ 3차원 프로젝터는 3차원 물체를 투사합니다. 아래버튼. 태양은 3차원 물체를 지탱하는 빛 에너지를 투사하고 있으며, 각 물질은 다차원 머카바로 투사되어,​ 3차원 무대위에 각자의 모습으로 현현하게 됩니다. 아래버튼. ^ 다차원 머카바가 만들어내는 스칼라 스탠딩 웨이브, 에너지 구슬은, 모이고 모여서 각자의 형태발생영역을 구축하여 3차원 물체의 형태를 유지하고 홀로그램 우주의 경험세상을 펼칠수 있도록 지탱합니다. 아래버튼.',
  
-'',​+'당신의 몸은 당신의 생각을 경험세상으로 펼쳐내는 홀로그램 프로젝터,​그자체 입니다. 인간의 에너지 통로인 15개의 차크라와 1대1로 연결된,​겹겹히 싸여있는 아우라장이 당신 몸을 감싸며 존재합니다. 아래버튼. ^ 3개의 주파수밴드로 구성된 아우라장이 모여서 하나의 1밀도 경험세상을 이루며 이를, 호바바디라고 부릅니다. 세번째 아우라필드 외곽에는 1밀도 자장척력층이 존재하며,​ 말그대로 당신을 둘러싸고 있는 2차원 홀로그램 투사스크린 입니다. 아래버튼. ​',
  
-'',​+'근원과 정렬된 유전자형판을 가진 인류는, 15차원 타임매트릭스에 대응하는 15개의 차크라에너지 중심점이 존재합니다. 아래버튼.',
  
-'',​+'근원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엑카샤 에너지는 각 밀도별 호바바디와 그에 대응되는 광선 및 기본입자로 변환됩니다. 각 바디에 필요한 구성입자를 부르는 이름들을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버튼. ​',
  
-'',​+'1밀도 입자와 그에 해당하는 기운을 부르는 이름들을 살펴 보시면 익숙한 단어들을 발견하시게 됩니다. 섬세한 에너지 몸체의 개념은 이미 우리 일상단어에도 녹아 있었으나,​ 오히려 현대에 들어서 대수롭지 않게 보고 있습니다. 아래버튼. ​',
  
 +'​인체 프로젝터를 일반 프로젝터에 비유하면 쉽게 이해될수 있습니다. 아래버튼. 전원은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된 인간의 중심에너지 기둥으로 나타납니다. 아래버튼. 생각과 이미지는 출력될 영상을 제공합니다. 아래버튼. 광원과 렌즈는 인간의 차크라에 해당됩니다.아래버튼.^ 투사 광선은 인간의 아우라에 해당됩니다. 아래버튼. 투사된 빛은 스크린에서 반사되면서 영상을 나타내며,​ 인간의 아우라장 안에서는 자장척력층이 빛을 반사하는 스크린에 해당됩니다. 아래버튼.',​
  
 +'​인간의 홀로그램 투사 주기는 심박과 호흡에 동기화 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아래버튼. 당신의 생각과 상념의 기운이, 당신의 행동과 함께 엮여서 홀로그램 현실로 투사됩니다. 아래버튼. ^ 반사되어 돌아온 행동의결과와 거기에 실려온 인지의 파동이 당신의 의식속에 각인 됩니다. 아래버튼. 반복되는 투사와 각인의 호흡속에 당신은 당신의 에너지를,​ 외부의 에너지와 순환시키며 당신만의 홀로그램 세상을 유지하고 펼쳐나가게 됩니다. 아래버튼. ^ 당신은 당신의 심박과 호흡으로 만들어내는 당신의 홀로그램 평행현실 사이를, 흘러가면서 시공간의 흐름으로 자각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호흡 중간에 환영이 사라지지 않고 연속성을 갖는 이유는 따로있습니다. 아래버튼.',​
 +
 +'​홀로그램 투사를 하고 있는 것은 당신 뿐만이 아닙니다. 물질 몸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들은 당신의 호흡보다 월등히 빠른 투사 주기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물질은 영사기 같이 연속성을 갖는 환영을 만들어 냅니다. 아래버튼.',​
 +
 +'​물질은 물리적 반응으로,​ 사람은 심박과 호흡으로,​ 태양계는 자전과 공전으로,​ 각자 고유의 맥동 주파수를 발산하며 파동중첩의 원리에 따라 다 함께 홀로그램 세상에 기여 하고 있습니다. 아래버튼. ',
 +
 +'​지구라는 홀로그램 무대 위에 당신은 오로지 당신만이 주인공인 홀로그램 세상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아래버튼. 그러나 손바닥 하나로는 박수 칠수 없는법입니다. 가족,​친구,​민족,​지구,​우주까지 서로서로 상대역을 해주면서 각자의 경험을 돕고 있는 중입니다. 아래버튼.^ 심지어는 무한한 가능성의 평행현실로 동시에 굴리고 있는 중입니다. 과거와 미래는 현재에 중첩해서 동시에 존재하고 있으며, 평행현실은 당신의 과거와 미래를 당신스스로 바꿀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래버튼.',​
 +
 +'​당신의 홀로그램 세상은 당신의 생각과 행동에 따라 펼쳐집니다. 그러나 당신 혼자 만드는 것이 아니라 다 같이 홀로그램에 기여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현될 가능성은 무한히 존재하나,​ 현실은 개연성있게 현현되어 진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아래버튼. ^파인만의 양자전기역학 강의를 들어보면,​ 광자는 실제로 모든 가능성의 경로를 다 거쳐가고 있으나, 에너지가 최소화 되는 최단거리를 가장 높은 확률로 통과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인간과 인간의 상호관계는 물리법칙 보다 변화무쌍 합니다. ^ 당신의 홀로그램 만큼이나,​다른 사람들의 홀로그램도 똑같은 가치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홀로그램 평행현실은 당신이 매 순간 순간 발산하는 생각, 감정, 행동의 주파수에 가장 근접 하면서도,​ 타인의 현실에도 무리없는곳으로 이동해 가는 원리로 움직입니다. 아래버튼.',​
 +
 +'​지금부터 말씀드리는 현현의 법칙을,​잘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첫번째로,​당신의 생각과 행동이 현실이 된다는 점을 유념 하시기 바랍니다. 가령 "​성공하고 싶다"​라는 생각은,"​성공하고 싶다"​를 현현시킵니다. 그러나 성공한자 같이 생각하고 행동하면,​ 성공한자가 됩니다. ^ 둘째로는,​이미 이루어진것과 같이 생각하고 행동 하는 것입니다. 외부적 상황을 조건으로 걸면 당신의 몸에서 나오는 주파수는 외부적 상황과 연동되어 집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해당 에너지를 투사해야 해당 에너지가 현현되는 현실로 이동하게 됩니다. ^ 세번째로는 원하는 결과의 모습에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다. 결과가 다르게 나와서 실망하는 순간, 실망하는 현실을 현현하게 됩니다. 네번째로는 어떻게 정의를 내리는가에 유념 하는 것입니다. 가령 전쟁을 반대한다의 경우를 보면, 전쟁이 존재해야 반대가 가능 합니다. ^ 여기서는 평화를 사랑한다같은 정의가 더 바람직 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정의는 일종의 자기 암시로 작용합니다. 정의속에 숨겨진 이면을 보시고, 원하는 주파수의 의미로 바꾸는 연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버튼.',​
 +
 +'​한때 서점가를 휩쓸었던 Secret.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며 원하는 것들을 끌어당겨 보았으나 중요한 핵심이 빠져 있었습니다. 현현의 원칙은 당신 쪽으로 원하는 결과를 끌어오는것이 아니라, 당신이 발산하는 주파수와 가장 유사한 현실로 당신이 흘러들어 가는 것입니다.^ 가령 당신이 현재의 모습 그대로 거금을 현현 하기를 원한다면,​ 당신이 통째로 바뀌지 않는한 현현되지 않거나, 돈이 없어도, 돈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상황으로 바뀌는 경험을 하실수도 있습니다. 결과의 모습은 에너지가 순리대로 흐르는 방식으로 현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결과에 집착하고,​끌어당김을 극대화 하면 정반대의 에너지가 같이 딸려오는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Secret의 공동저자 아서레이는 무리한 한계체험 캠프를 운영하다 3명이 숨지고 감옥에 수감되는 아이러니를 현현하였습니다. 아래버튼.',​
 +
 +'​홀로그램 현실을 만들어 가는 과정은 래프팅과 유사합니다. 물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방향을 조절해 가다, 흘러가는 강을 바꾸어탈수가 있습니다. 아래버튼.',​
 +
 +'​호바바디 속에서 결정화된,​ 낮은진동의 반입자를 미아즘이라고 부릅니다. 미아즘은 낮은진동의 상념이 쌓여서 발생하며,​ 당신의 형태발생영역 속에서 또 다른 형태발생적형판을 만들어냅니다. 미아즘이 머무르며 반복해서 주파수를 낮추는 현상이 바로 카르마입니다. ^ 미아즘은 자연적인 호바몸체의 결합과, 차원상승을 방해하며 에너지 흐름의 부조화를 만들어 질병을 유발합니다. 물론 하나의 가설로 말씀 드리는 것입니다. 아래버튼.',​
 +
 +'​그렇게 어렵지않아서,​ 따라해보는사람이 많았던 밥 부패 실험. 두개의 동일한 밥에다 사랑과 증오의 감정을 매일같이 투사하면 같은 홀로그램 평행현실 안에서 서로 다른 결과가 전개됩니다. 아래버튼. ',
 +
 +'​이미 생생한 홀로그램 우주에 들어와 경험하는 것도 모자라서,​하나 더 만들고 싶어하는 당신, 여러분은 이미 너무나도 생생한 홀로그램 가상현실 안으로 들어와서 물질 체험을 하고 계시는 중입니다. 아래버튼.',​
 +
 +'​인류가 자각하지 못하는 현실을 제대로 찌르기만 한다면, 대박치는 영화를 만들수가 있습니다. 영화 매트릭스는 한편으로 소름끼칠정도로 현실을 허구화 하여 전달하고 있었습니다. 아래버튼. ',
 +
 +'​초끈이론의 초대칭성을 연구하던 게이츠 교수. 복잡한 수식을 도식화하여 표현하던 도중, 우연히 물리법칙안에 1940년도 Claude Shannon이 발명한, 오류보정 코드와 동일한 컴퓨터코드가 존재함을 발견하고 시뮬레이션 우주론을 제시합니다. 아래버튼. ',
 +
 +'​코웃음을 치고 있다면,​당신의 지갑속의 지폐를 한번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가상화폐까지 만들어 숫자에 죽고사는 현대사회는 이미 당신이 들어가 있는 가상현실입니다. 아래버튼.',​
 +
 +'​가상현실 속으로 직접 뛰어들어가,​ 그속에서 진화하면서,​ 궁극의 해답을 찾으려 만든 초거대 컴퓨터의 이름이... 지구. 작가 더글라스 애덤스는 분명히 뭔가를 알고 있었을것입니다... 이제 가상현실로 돌아가실 시간입니다. 종료버튼.',​
  
 ]; ];
줄 36: 줄 66:
         comments[11] = items;         comments[11] = items;
     else     else
-        comments[11] = undefined;  // not yet released ​+        comments[11] = items;  // released ​
 } }
 catch (e) { catch (e) {
ctd/slides/timematrix/12.154639741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15 23:02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