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fib:신성기하학 [2019/03/18 23:34] admin 만듦 |
fib:신성기하학 [2024/04/05 07:13] (current) admin [Ark of the covenant (성궤)] |
||
---|---|---|---|
Line 38: | Line 38: | ||
{{youtube>FSmdSw9eEIA?small}} | {{youtube>FSmdSw9eEIA?small}} | ||
\\ | \\ | ||
+ | |||
+ | {{youtube>gepvIBinSIo?small}} | ||
==== Platonic Solid (플라톤 입체기하학) ==== | ==== Platonic Solid (플라톤 입체기하학) ==== | ||
3차원 공간상에서 파동은 구(Sphere) 모양으로 퍼져 나간다. | 3차원 공간상에서 파동은 구(Sphere) 모양으로 퍼져 나간다. | ||
Line 60: | Line 62: | ||
- [[http://en.wikipedia.org/wiki/Tesseract|Hypercube]] (42) | - [[http://en.wikipedia.org/wiki/Tesseract|Hypercube]] (42) | ||
- [[http://en.wikipedia.org/wiki/N-sphere|Hypersphere]] (∞) | - [[http://en.wikipedia.org/wiki/N-sphere|Hypersphere]] (∞) | ||
- | + | ||
+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0/Sphere_rotating.gif}} | ||
Regular Polyhedral Solid | Regular Polyhedral Solid | ||
^Name^Shape^ ^ | ^Name^Shape^ ^ | ||
- | |[[http://en.wikipedia.org/wiki/Sphere|Spher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0/Sphere_rotating.gif?100}} | | | + | |[[http://en.wikipedia.org/wiki/Sphere|Spher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0/Sphere_rotating.gif?100}} | | |
- | |[[http://en.wikipedia.org/wiki/Tetrahedron|Tetr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0/Tetrahedron.gif?100}} |화(火)| | + | |[[http://en.wikipedia.org/wiki/Tetrahedron|Tetrahedron]]|{{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0/Tetrahedron.gif?100}} |화(火)| |
- | |[[http://en.wikipedia.org/wiki/Cube|Hex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8/Hexahedron.gif?100}}|지(地)| | + | |[[http://en.wikipedia.org/wiki/Cube|Hexahedron]]|{{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8/Hexahedron.gif?100}}|지(地)| |
- | |[[http://en.wikipedia.org/wiki/Octahedron|Oct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4/Octahedron.gif?100}}|풍(風)| | + | |[[http://en.wikipedia.org/wiki/Octahedron|Octahedron]]|{{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4/Octahedron.gif?100}}|풍(風)| |
- | |[[http://en.wikipedia.org/wiki/Dodecahedron|Pantagonal]] -\\ [[http://en.wikipedia.org/wiki/Dodecahedron|Dodec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3/Dodecahedron.gif?100}}|aether| | + | |[[http://en.wikipedia.org/wiki/Dodecahedron|Pantagonal]] -\\ [[http://en.wikipedia.org/wiki/Dodecahedron|Dodecahedron]]|{{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3/Dodecahedron.gif?100}}|aether| |
- | |[[http://en.wikipedia.org/wiki/Rhombic_dodecahedron|Rhombic]] -\\ [[http://en.wikipedia.org/wiki/Rhombic_dodecahedron|Dodec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1/Rhombicdodecahedron.gif?100}}| | | + | |[[http://en.wikipedia.org/wiki/Rhombic_dodecahedron|Rhombic]] -\\ [[http://en.wikipedia.org/wiki/Rhombic_dodecahedron|Dodecahedron]]|{{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1/Rhombicdodecahedron.gif?100}}| | |
- | |[[http://en.wikipedia.org/wiki/Icosahedron|Icosahedron]]|{{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2/Icosahedron.gif?100}}|수(水)| | + | |[[http://en.wikipedia.org/wiki/Icosahedron|Icosahedron]]|{{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2/Icosahedron.gif?100}}|수(水)| |
Hyper Dimensional Polyhedral Solid | Hyper Dimensional Polyhedral Solid | ||
^Name^Shape^ ^ | ^Name^Shape^ ^ | ||
|[[http://en.wikipedia.org/wiki/Tetragrammaton|Tetragrammaton]]\\ [[http://en.wikipedia.org/wiki/5-cell|(5-cell)]]|{{http://img.myconfinedspace.com/wp-content/uploads/tdomf-2/506495/1277465744307.gif?100}} |중력| | |[[http://en.wikipedia.org/wiki/Tetragrammaton|Tetragrammaton]]\\ [[http://en.wikipedia.org/wiki/5-cell|(5-cell)]]|{{http://img.myconfinedspace.com/wp-content/uploads/tdomf-2/506495/1277465744307.gif?100}} |중력| | ||
- | |[[http://en.wikipedia.org/wiki/Tesseract|Hypercub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5/55/Tesseract.gif?100}}|차원| | + | |[[http://en.wikipedia.org/wiki/Tesseract|Hypercub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5/55/Tesseract.gif?100}}|차원| |
- | |[[http://en.wikipedia.org/wiki/N-sphere|Hyperspher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f/Clifford-torus.gif?100}} |평행현실| | + | |[[http://en.wikipedia.org/wiki/N-sphere|Hyperspher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f/Clifford-torus.gif?100}} |평행현실| |
Tetragrammaton 은 이스라엘의 경전에 나오는 신 YHWH 의 히브리어 4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중력과 관련이 있다. | Tetragrammaton 은 이스라엘의 경전에 나오는 신 YHWH 의 히브리어 4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중력과 관련이 있다. | ||
Line 88: | Line 92: | ||
물을 가르는 기적은 여호수아 [[http://kcm.co.kr/bible/kor/Jos3.html|3장 15~17절]], [[http://kcm.co.kr/bible/kor/Jos4.html|4장 7~18절]]에도 등장한다. 요르단강 앞에서 성궤를 짊어진 제사장들이 발을 물에 담그자 상류 물의 흐름이 멈추기 시작하고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건널때 까지 성궤와 함께 강 중심에 서서 대기하는 장면이 묘사 되고 있다.\\ | 물을 가르는 기적은 여호수아 [[http://kcm.co.kr/bible/kor/Jos3.html|3장 15~17절]], [[http://kcm.co.kr/bible/kor/Jos4.html|4장 7~18절]]에도 등장한다. 요르단강 앞에서 성궤를 짊어진 제사장들이 발을 물에 담그자 상류 물의 흐름이 멈추기 시작하고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건널때 까지 성궤와 함께 강 중심에 서서 대기하는 장면이 묘사 되고 있다.\\ | ||
-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0/Benjamin_West_-_Joshua_passing_the_River_Jordan_with_the_Ark_of_the_Covenant_-_Google_Art_Project.jpg/640px-Benjamin_West_-_Joshua_passing_the_River_Jordan_with_the_Ark_of_the_Covenant_-_Google_Art_Project.jpg?320|요르단강을 건너는 성궤}} |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0/Benjamin_West_-_Joshua_passing_the_River_Jordan_with_the_Ark_of_the_Covenant_-_Google_Art_Project.jpg/640px-Benjamin_West_-_Joshua_passing_the_River_Jordan_with_the_Ark_of_the_Covenant_-_Google_Art_Project.jpg?320|요르단강을 건너는 성궤}} |
[[http://kcm.co.kr/bible/kor/Exo25.html|출애굽기 25장 10~22]]의 묘사에 따르면 성궤는 길이 1.5미터, 폭과 높이가 약 70cm의 아카시아 나무 안쪽과 바깥쪽을 전기 전도율이 가장 높은 금으로 둘러 쌓았으며, 맨위에는 날개를 접어 마주보고 있는 형상의 금으로 만들어진 두 천사가 놓여 있다. 금판막 사이를 나무 절연체로 겹겹이 분리한 성궤의 구조로 인해 실제 목적된 기능은 축전기(capacitor)라는 가설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 | [[http://kcm.co.kr/bible/kor/Exo25.html|출애굽기 25장 10~22]]의 묘사에 따르면 성궤는 길이 1.5미터, 폭과 높이가 약 70cm의 아카시아 나무 안쪽과 바깥쪽을 전기 전도율이 가장 높은 금으로 둘러 쌓았으며, 맨위에는 날개를 접어 마주보고 있는 형상의 금으로 만들어진 두 천사가 놓여 있다. 금판막 사이를 나무 절연체로 겹겹이 분리한 성궤의 구조로 인해 실제 목적된 기능은 축전기(capacitor)라는 가설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 | ||
Line 94: | Line 98: | ||
구약에 따르면 성궤는 방전되지 않도록 땅에 닿지 않게 보관 되었으며 쓰러지는 성궤를 잡다가 즉사(감전사)하는 경우도 기록되어 있다. 방사능이 방사되어 얼굴등에 화상을 입혔기 때문에 아무나 근처에 다가가지 못하게 하였으며 반드시 납처리가 된 차양막에 가려져 있도록 보관 되었었다. | 구약에 따르면 성궤는 방전되지 않도록 땅에 닿지 않게 보관 되었으며 쓰러지는 성궤를 잡다가 즉사(감전사)하는 경우도 기록되어 있다. 방사능이 방사되어 얼굴등에 화상을 입혔기 때문에 아무나 근처에 다가가지 못하게 하였으며 반드시 납처리가 된 차양막에 가려져 있도록 보관 되었었다. | ||
-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8/Tissot_Moses_and_Joshua_in_the_Tabernacle.jpg?300}} | +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8/Tissot_Moses_and_Joshua_in_the_Tabernacle.jpg?300}} |
1952년 사해 근처 동굴에서 발견된 [[http://en.wikipedia.org/wiki/Dead_Sea_Scrolls|사해문서]] 중 가장 특이한 문서는 파피루스가 아닌 순수한 동판([[http://en.wikipedia.org/wiki/Copper_Scroll|Copper Scroll]])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해독에 의하면 종교적 내용이 적힌 다른 문서와 달리 성궤를 구성하는 64개의 주요 재료나 구성품들이 숨겨져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목록이 그 내용이었다고 한다. 이 내용이 알려지면 수많은 보물 탐험가들에 의해 유물 이곳 저곳이 훼손 될 것을 우려하여 일반에게는 감춰져 있었으며, 그 후 유물학자 [[http://en.wikipedia.org/wiki/Vendyl_Jones|Vendyl Jones]]((그렇다! Vendyl Jones 로 부터 영감을 받아 인디아나 존스의 주인공이 탄생 되었다)) 에 의해 목록에 있는 몇개의 재료가 실제로 발견되었다. | 1952년 사해 근처 동굴에서 발견된 [[http://en.wikipedia.org/wiki/Dead_Sea_Scrolls|사해문서]] 중 가장 특이한 문서는 파피루스가 아닌 순수한 동판([[http://en.wikipedia.org/wiki/Copper_Scroll|Copper Scroll]])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해독에 의하면 종교적 내용이 적힌 다른 문서와 달리 성궤를 구성하는 64개의 주요 재료나 구성품들이 숨겨져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목록이 그 내용이었다고 한다. 이 내용이 알려지면 수많은 보물 탐험가들에 의해 유물 이곳 저곳이 훼손 될 것을 우려하여 일반에게는 감춰져 있었으며, 그 후 유물학자 [[http://en.wikipedia.org/wiki/Vendyl_Jones|Vendyl Jones]]((그렇다! Vendyl Jones 로 부터 영감을 받아 인디아나 존스의 주인공이 탄생 되었다)) 에 의해 목록에 있는 몇개의 재료가 실제로 발견되었다. | ||
Line 110: | Line 114: | ||
{{http://www.guardians.net/images/coffer3.jpg}}\\ | {{http://www.guardians.net/images/coffer3.jpg}}\\ | ||
피라밋의 원래 용도는 왕의 무덤이 아니라 전자기력 증폭장치라는 가설이 있다. | 피라밋의 원래 용도는 왕의 무덤이 아니라 전자기력 증폭장치라는 가설이 있다. | ||
+ | |||
+ | [[https://www.instagram.com/reel/C4jRA_Wuxth|Bashar 설명]] [[https://www.instagram.com/reel/Cvhoc-7tDI8|나폴레옹 일화]] | ||
파라오는 모세가 성궤(혹은 그 무언가)를 갖고 이집트를 탈출 했다는 것을 뒤늦게 알아차리고는 병사들을 모아 황급히 뒤 쫒아 갔으나 결국 홍해에 수장되어 버린다. | 파라오는 모세가 성궤(혹은 그 무언가)를 갖고 이집트를 탈출 했다는 것을 뒤늦게 알아차리고는 병사들을 모아 황급히 뒤 쫒아 갔으나 결국 홍해에 수장되어 버린다. |